아파트에 거주하면서 청소, 경비, 전기, 온수, 수도, 난방 등 사용한 서비스에 대해 요금을 통틀어서 관리비라고 하며, 매월 말일에 납부해야 합니다. 아파트 관리비가 얼마인지 관리비 명세서가 없을 때, 인터넷과 모바일에서 아파트 관리비 조회 3가지 방법을 자세하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파트 관리비 조회 3가지 방법
아파트 관리비는 보통 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 각 세대에 배부하는 관리비 명세서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명세서를 받지 못했거나 여행을 떠나 확인할 수 없으며, 관리비를 납부해야 하는 날이라면 급하게 아파트 관리비가 얼마나 나왔는지 확인하고, 납부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보통 아파트 관리비는 매월 말일까지 납부해야 하며, 말일이 주말이거나 공휴일인 경우에는 다음 달 평일까지 납부해야 합니다. 납부기한까지 납부하지 못한다면, 연 12%의 연체요율을 적용해서 가산금이 부과됩니다.
하루 이틀 밀린다고 엄청나게 큰 금액이 연체료로 나오지는 않고, 다음 달에 납부해야 할 아파트 관리비와 함께 납부해야 합니다. 하지만, 고정적으로 납부해야 하는 관리비가 연체되어 굳이 연체료가 발생하지 않도록 아파트 관리비 명세서가 없을 때, 인터넷이나 모바일로 관리비를 쉽게 조회할 수 있는 3가지 방법을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주택관리공단 아파트 관리비 조회 방법
1. 주택관리공단 관리비 조회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로그인” 버튼을 누른 다음 회원가입 및 로그인합니다.
3. 전자납부번호(12자리 숫자)를 입력하고, “조회” 버튼을 눌러서 아파트 관리비를 조회합니다.
다만, 주택관리공단에서 회원가입할 때, 부가정보로 아파트 관리비 전자납부번호를 입력해서 입주자 인증을 완료해야 합니다. 따라서 전자납부번호를 아는 경우에는 주택관리공단에서 아파트 관리비를 조회할 수 있지만, 번호를 몰라서 입주자 인증을 하지 못하면, 관리비를 조회할 수 없습니다.
게다가 주택관리공단에서 관리하는 아파트만 조회할 수 있어 한정적이기 때문에 주택관리공단에서 관리하지 않는 아파트의 관리비를 조회할 수 없습니다.
만약 우리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가 궁금한 경우에는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K-apt)에서 조회할 수 있으며, 서울시는 공동주택통합정보마당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내가 거주하고 있는 아파트 관리비를 조회하는 서비스는 없기 때문에 자가, 전세, 월세로 지내고 있으며, 주민등록을 완료한 거주지의 아파트 관리비를 조회하는 방법을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파트아이 인터넷 관리비 조회 방법
1. 아파트아이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홈페이지 화면 우측 상단에 “회원가입” 버튼을 누른 다음 회원가입 및 로그인합니다.
3. 로그인한 다음 “관리비 조회” 메뉴를 누릅니다.
4. 관리비 부과 기준 월을 선택해서 아파트 관리비를 조회합니다.
아파트아이 모바일 관리비 조회 방법
많은 분들이 아파트아이는 모바일 앱을 사용해서 아파트 관리비를 조회하고, 납부할 수 있는 것으로 아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아파트아이(APTI) 홈페이지에서 인터넷 조회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분들이라면 아파트아이 앱을 사용하면 보다 편리하게 아파트 관리비를 조회하고, 관리비를 납부할 때 카드로 결제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아파트 아이에서는 관리비를 네이버페이로 납부하면 일정액의 관리비를 할인받을 수도 있습니다.
금융 카테고리 추천 글
1. 신생아 전기세 감면 신청 방법(전기요금 30%, 월 16,000원 할인)
4.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기(주택, 오피스텔, 토지, 상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