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생리대 지원금 신청 2가지 방법

경기도 24개 시·군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청소년이라면 누구나 생리대 지원금을 신청하여 매월 생리용품을 구매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경기도 생리대 지원금 신청 2가지 방법과 신청 대상자까지 자세한 내용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경기도 생리대 지원금이란

경기도 생리대 지원금은 여성청소년에게 매월 14,000원을 경기지역화폐로 지급하여 생리용품을 구매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복지 사업입니다.

경기도 생리대 지원금 지원 사업의 정식 명칭은 경기도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보편지원 사업입니다. 다소 지원 사업의 명칭에 어려운 부분이 있기 때문에 많이 생리대 지원금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도 경기도 생리대 지원금이라는 용어를 사용해서 신청 대상자는 누구인지 알아보고, 신청 방법과 신청 기간은 어떻게 되는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경기도 생리대 지원금 신청 대상자

경기도 생리대 지원금 신청 대상자는 말 그대로 신청해서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을 말합니다.

경기도 생리대 지원금 신청 대상자는 아래 3가지 기준을 모두 만족해야 합니다.

1️⃣ 성별 기준: 여성 청소년
2️⃣ 연령 기준: 출생연도 기준 11세부터 18세까지(2025년 기준 2007년 1월 1일 이후부터 2014년 12월 31일까지 출생)
3️⃣ 주소지 기준: 생리대 지원금 사업 참여 24개 시·군 내에 주소지/체류지/거소지를 둘 것.

여성 청소년의 생일이 2025년 기준 2007년부터 2014년 사이에 있다면, 우선 성별과 연령 기준은 만족하는 것으로 봅니다.

또한, 주소지 기준에서 설명한, 생리대 지원금 사업 참여 24개 시·군(21개 시, 3개 군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생리대 지원금 사업 참여 시·군: 화성시, 안산시, 평택시, 안양시, 시흥시, 김포시, 의정부시, 광주시, 하남시, 광명시, 군포시, 양주시, 오산시, 이천시, 안성시, 구리시, 의왕시, 포천시, 여주시, 동두천시, 과천시, 양평군, 가평군, 연천군

하지만, 위 3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더라도, 여성가족부에서 취약계층에 있는 여성청소년을 대상으로 생리용품을 지원하는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지원을 신청해서 바우처 포인트를 지원받고 있다면, 경기도 생리대 지원금을 중복해서 받을 수는 없습니다.

경기도 생리대 지원금 신청 2가지 방법

경기도 생리대 지원금 신청 2가지 방법은 ①온라인 신청 방법②오프라인 신청 방법을 말합니다.

온라인 신청 방법의 경우에는 컴퓨터, 휴대폰 등을 사용해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는 방법을 말하며, 오프라인 신청 방법은 행정기관에 직접 방문해서 신청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물론 온라인 신청이 편리하기 때문에 온라인 신청 방법만 궁금해하는 분들도 있겠지만, 온라인 신청이 어렵거나 신청 기간이 더 긴 오프라인 신청 방법을 이용해야 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따라서 경기도 생리대 지원금 신청 2가지 방법을 모두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생리대 지원금 온라인 신청 방법

생리대 지원금은 경기도에서만 시행하고 있는 지원 사업이기 때문에 경기민원 24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2025년 기준 온라인 신청은 8월 1일부터 24개 시·군 모두 접수가 종료되었기 때문에 2025년 11월 14일까지 오프라인 신청만 가능합니다.

따라서 2026년 경기도 생리대 지원금(경기도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보편지원) 온라인 신청이 시작되면, 다시 온라인 신청 가능합니다.

생리대 지원금 오프라인 신청 방법

생리대 지원금 오프라인 신청은 행정기관에 방문해서 신청하는 방법을 말하는데,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해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다만, 경기도 생리대 지원금 오프라인 신청은 미리 서류를 준비해 가면 보다 편리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신청서와 주민등록등/초본을 제출해야 하며, 지원금을 신청하려고 방문하는 사람(직접, 대리인, 양육자 등)에 따라 준비해야 하는 서류가 다릅니다.

다만, 여성청소년이 직접 방문할 때는 신분증 사본(주민등록증, 여권, 운전면허증, 청소년증, 장애인등록증 등)만 준비하면 됩니다. 하지만, 여성청소년이라서 신분증이 없을 때는 의료보험 카드(건강보험증), 주민등록등본 사본, 시설거주증명서 등을 대체해서 제출할 수도 있습니다.

만약 여성청소년의 부모, 가족, 친족 대리인이 신청할 때는 신분증 사본과 가족관계 확인 서류(가족관계증명서 등)를 지참해서 방문해야 합니다.

만약 여성청소년 양육자 신청 시에는 대리인(후견인, 법정대리인, 시설장 등)의 신분증 사본과 대리자격 확인 자료(가정위탁보호확인서, 시설아동증빙서류, 후견인증명서, 기본증명서 등)를 제출해야 합니다.

이상으로 경기도 생리대 지원금 신청 2가지 방법과 신청 대상자를 모두 설명해 드렸습니다. 경기도 생리대 지원금을 통해 생리용품을 구매할 때,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경기도 생리대 지원금 FAQ

Q1. 경기도 생리대 지원금은 얼마를 받을 수 있나요?

A1. 월 14,000원(연 168,000원)을 경기지역화폐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Q2. 지원금으로 어떤 상품을 구매할 수 있나요?

A2. 생리대, 탐폰, 생리컵 등의 생리용품만 구매할 수 있습니다. 다만, 경기도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보편지원 사업에서 정한 구입처에서만 생리용품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Q3. 지원금은 어디서 사용할 수 있나요?

A3. 지원금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사용처에서 생리용품을 구매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온라인 사용처: 배달특급몰(배달특급 앱)
– 오프라인 사용처: 편의점(CU, GS24, 세븐일레븐, 이마트24) 중 경기지역화폐 가맹점

Q4. 지원금은 언제까지 사용할 수 있나요?

A4. 2025년에 신청해서 받은 지원금은 2025년 12월 31일까지 사용해야 합니다. 12월 31일까지 사용하지 않은 잔여 지원금은 자동으로 소멸됩니다.

Q5. 여성가족부 바우처를 받고 있는데, 함께 받을 수 있나요?

A5. 중복 지원은 받을 수 없습니다. 여가부의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지원 사업은 저소득(취약계층) 만 9~24세의 여성청소년에게 매월 14,000원을 지원하는 제도로 경기도 생리대 지원금과 지원 목적 및 내용이 동일하여 중복 지원은 불가능합니다.

Q6. 경기지역화폐 앱이 꼭 필요한가요?

A6. 네. 필요합니다. 경기도 생리대 지원금 신청자는 경기지역화폐(시·군별 지역화폐) 앱을 가입해야 합니다.

Q7. 생리대 지원금 관련 문의는 어디에 해야 하나요?

A7. 생리대 지원금은 경기도 콜센터(☎️ 031-120) 또는 각 지자체의 담당 부서의 담당자 연락처로 전화를 걸어서 문의할 수 있습니다.
각 지자체 담당부서별 담당자의 연락처는 아래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지자체담당 부서담당자 연락처
가평군평생교육사업소031-580-2472
과천시교육청소년과02-2150-3917
광명시교육청소년과02-2680-2126
광주시평생교육과031-760-8945
구리시평생학습과031-550-2149
군포시아동청소년과031-390-0685
김포시교육청소년과031-980-2989
동두천시가족지원과031-860-2436
시흥시청년청소년과031-310-3198
안산시교육청소년과031-481-2219
안성시미래교육과031-678-6847
안양시교육청소년과031-8045-2725
양주시아동청소년과031-8082-5862
양평군가족복지과031-770-3793
여주시가족복지과031-887-2587
연천군통일평생교육원031-839-4438
오산시평생교육과031-8036-7527
의왕시체육청소년과031-345-2293
의정부시교육청소년과031-828-2443
이천시청년아동과031-644-4347
평택시교육청소년과031-8024-2944
포천시교육정책과031-538-3390
하남시청년일자리과031-5182-1581
화성시청년청소년정책과031-5189-3176

Q8. 외국인 여성 청소년도 지원받을 수 있나요?

A8.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 여성 청소년이 주민등록, 외국인등록, 국내거소신고를 완료했다면, 경기도 생리대 지원금을 신청하여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Q9. 경기도 생리대 지원금 신청 기간과 신청 기한은 언제까지인가요?

A9. 경기도 생리대 지원금 신청기간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서로 다르게 신청 가능하며, 온라인 신청은 1차와 2차로 나누어서 접수를 받고 있습니다. 지자체별 자체적으로 신청 기간을 두고 있기 때문에 세부 일정은 아래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구분지자체온라인 신청 기간
온라인 신청1차화성, 평택, 시흥, 오산, 의정부, 양주, 구리, 포천, 동두천, 가평, 연천2025년 3월 4일(화) 09:00 ~ 4월 11일(금) 18:00
안산, 안양, 김포, 광주, 광명, 하남, 군포, 이천, 안성, 의왕, 양평, 여주, 과천2025년 3월 6일(목) 09:00 ~ 4월 11일(금) 18:00
2차안산, 안양, 김포, 광주, 광명, 하남, 군포, 이천, 안성, 의왕, 양평, 여주, 과천2025년 6월 30일(월) 9:00 ~ 8월 1일(금) 18:00
화성, 평택, 시흥, 오산, 의정부, 양주, 구리, 포천, 동두천, 가평, 연천2025년 7월 3일(목) 9:00 ~ 8월 1일(금) 18:00
오프라인 신청전체 시·군 지역2025년 3월 4일(화) ~ 11월 14일(금)

Q10. 경기지역화폐 카드가 없으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10. 모바일 앱에서 경기지역화폐 카드를 발급받거나 주민센터에 방문해서 IC카드를 발급받아야 지원금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인기 많은 최신 글

경기도 생리대 지원금 신청 2가지 방법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