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도 계산기

필수 정보 입력

추가 정보 입력 (선택)

비만도 계산 결과

비만도 계산기란?

비만도 계산기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키, 체중을 기본 입력하고, 필요한 경우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 정보를 추가 입력해서 5가지 측정 방법을 활용해서 비만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온라인 계산 도구입니다.

비만도 계산기에서는 BMI(체질량지수), 체지방률, 비만도, WHtR, WHR 5가지 항목을 측정하여 비만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5가지 비만 여부 평가 도구는 어떤 방법으로 계산하는지 알아보고, 평가 기준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BMI(체질량지수)란?

BMI는 몸무게(kg)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누어 값을 산출한 다음 비만도를 간편하게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 BMI 계산 공식 : 체중(kg) ÷ 신장(m)²
  • BMI는 체질량지수라고 부르며, WHO와 대한비만학회의 BMI 판정 기준에 따라 비만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분류WHO 기준 (국제)대한비만학회 기준 (한국 및 아시아)
    저체중BMI < 18.5BMI < 18.5
    정상 체중18.5 ≤ BMI < 24.918.5 ≤ BMI < 22.9
    과체중25.0 ≤ BMI < 29.923.0 ≤ BMI < 24.9
    1단계 비만-25.0 ≤ BMI < 29.9
    2단계 비만-30.0 ≤ BMI < 34.9
    고도 비만BMI ≥ 30.0BMI ≥ 35.0

    WHO 체질량지수 기준은 국제 기준을 의미하며, 대한비만학회 기준은 한국과 아시아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국내 사용자에게는 대한비만학회 기준을 따르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체지방률이란?

    체지방률은 전체 체중에서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하며, 건강 관리에 중요한 지표입니다.

    체지방률은 백분율(%)로 구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공식은 체지방량(kg)을 체중으로 나눈 다음 100을 곱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다만, 체지방량을 모르는 경우에는 Deurenberg 공식으로 BMI, 나이, 성별을 활용해서 체지방률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Deurenberg 공식은 낭성과 여성, 성별에 따라 계산 공식이 다르며, 성별에 따른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남성 공식 : 1.20 * BMI + 0.23 * 나이 - 16.2
  • 여성 공식 : 1.20 * BMI + 0.23 * 나이 - 5.4
  • 체지방률은 성별 그리고 연령별 체지방률 기준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성별을 기준으로 한 체지방률 기준은 운동선수 기준부터 비만까지 5단계로 나누어봅니다.

    분류남성 체지방률여성 체지방률
    운동선수 수준6% ~ 13%14% ~ 20%
    매우 양호14% ~ 17%21% ~ 24%
    양호18% ~ 24%25% ~ 31%
    경계선25% ~ 29%32% ~ 37%
    비만30% 이상38% 이상

    연령을 기준으로 하는 체지방률 해석은 20대부터 60대 이상, 남성과 여성에 따라 아래 표와 같은 기준으로 판정합니다.

    연령대남성 적정 범위 (%)여성 적정 범위 (%)
    20대8% ~ 19%21% ~ 32%
    30대11% ~ 21%23% ~ 33%
    40대12% ~ 22%24% ~ 34%
    50대14% ~ 24%26% ~ 36%
    60대 이상15% ~ 25%27% ~ 38%
    체지방률이 경계선 또는 비반, 연령대에 맞는 적정 범위를 초과한다면, 유산소 및 근력 운동과 단백질양과 식이섬유를 충분히 섭취하고, 정제 탄수화물과 같은 불필요한 지방 섭취를 줄이며, 충분한 수면과 휴식을 통해 체지방을 감소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만도(Obesity Index)란?

    비만도는 신체의 비만 정도를 평가하는 다양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비만도를 계산하는 공식은 [실제 체중(kg) - 표준 체중(kg)] ÷ 표준 체중(kg)을 계산한 다음 100을 곱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표준 체중 계산은 Broca 기준을 따르며, 남성과 여성에 따라 계산할 수 있습니다.

  • 비만도 계산 공식 : [실제 체중(kg) - 표준 체중(kg)] ÷ 표준 체중(kg) × 100
  • Broca 남성 표준 체중 공식 : [신장(cm) − 100] × 0.9
  • Broca 여성 표준 체중 공식 : [신장(cm) − 100] × 0.85
  • 비만도(Obesity Index)를 계산한 다음 나의 비만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기준은 아래표를 따릅니다.

    Obesity Index (%)판정
    20% 미만저체중
    20% ~ 24%정상
    25% ~ 29%과체중
    30% ~ 49%경도 비만 (1단계 비만)
    50% ~ 99%중등도 비만 (2단계 비만)
    100% 이상고도 비만 (3단계 비만)

    WHtR(허리-키 비율)란?

    WHtR은 허리둘레를 키로 나눈 값으로, 내장지방 및 심혈관계 질환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 WHtR 계산 공식 = 허리둘레(cm) ÷ 키(cm)
  • 허리-키 비율을 계산한 결과 값은 남녀 공통 기준이 아래 표에 따르며, 0.5% 이상이면 복부 비만으로 간주합니다.

    WHtR 값기준
    0.4 미만저체중
    0.4 ~ 0.49건강한 체중
    0.5 ~ 0.59과체중
    0.6 이상비만

    WHR(허리-엉덩이둘레 비율)란?

    WHR은 허리둘레를 엉덩이둘레로 나눈 값으로, 비만 유형을 구분하는 데 사용됩니다.

  • WHR 계산 공식 = 허리둘레(cm) ÷ 엉덩이둘레
  • WHR 계산 결과 값은 WHO 기준에 따라 남성과 여성 각각 2단계로 나누어 정상과 복부 비만으로 판단합니다.

    구분남성여성
    정상0.9 이하0.85 이하
    복부 비만0.9 초과0.85 초과

    허리-엉덩이둘레 비율이 WHR 기준을 초과하면, 심혈관계 질환 및 대사성 질환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라이프 카테고리 추천 글

    1. 글자수세기 단어수세기

    2. 자녀 예상키 계산기

    3. 기초대사량 계산기

    4. 반응속도 테스트

    5. 60갑자표(육십갑자 계산기 및 월별 달력)

    비만도 계산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