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학연금 수령액 조회 및 계산 방법

사학연금은 사립학교 교직원의 노호 보장을 위한 연금 제도입니다. 교직원으로서 10년 이상 재직하면 사학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사학연금은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사학연금 수령액 조회 및 계산 방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사학연금 수령액

사학연금 수령액은 사립학교 교직원이 일정 기간 이상 재직한 다음 퇴사 후 매월 받을 수 있는 연금 급여 금액을 말합니다. 사학연금은 국민연금이나 공무원연금과 유사한 점이 있으며, 사립학교 교직원들의 노후 보장에 필요한 공적 연금 제도입니다.

사학연금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최소 10년 이상(120개월) 사립학교에 재직해야 하며, 연금 수령은 특정 나이에 도달해야 시작하는데 2033년까지 만 65세로 사학연금 개시 연령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구분개시 연령
2016년부터 2021년까지60세
2022년부터 2023년까지61세
2024년부터 2026년까지62세
2027년부터 2029년까지63세
2030년부터 2032년까지64세
2033년부터65세

사학연금법에 따라 위 표와 같이 사학연금은 해당 연령에 도달했을 때부터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10년 이상 재직하고 퇴직연금 지급이 시작되는 시점 이전에 퇴직했을 때, 사립학교 교직원이 신청하면, 최대 5년까지 조기 수령도 가능합니다.

사학연금 수령액 조회 방법

사학연금 수령액은 PC에서 인증서를 사용해서 로그인한 다음 조회할 수 있습니다. 사학연금 수령액 조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사학연금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연금서비스 로그인” 버튼을 누른 다음 공동인증서 또는 금융인증서를 사용해서 로그인합니다.

  • 사학연금 홈페이지를 처음 이용하는 분은 “회원가입” 후 인증서를 등록한 다음 로그인합니다.

3. 로그인한 다음 “연금서비스 >” 메뉴 버튼을 누릅니다.

4. 왼쪽 카테고리에서 “예상퇴직급여(재직자)” 메뉴를 누릅니다.

5. 조회 구분에서 “미래기준” 옵션을 선택하고, 예상퇴직일과 예상 공무원 보수 인상률을 “2~3%” 입력한 다음 “조회” 버튼을 누릅니다.

6. 퇴직일시금, 퇴직연금, 퇴직수당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퇴직일시금으로 받았을 때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퇴직연금을 선택하면 얼마를 수령할 수 있는지 한 번에 조회해 볼 수 있습니다.

사학연금 수령액 계산 방법

사학연금 수령액 조회 방법을 설명해 드렸지만, 내가 받게 되는 사학연금 수령액은 얼마인지 직접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사학연금 수령액은 재직기간을 2015년 이전과 2016년 이후로 나누어서 계산한 다음 합산해서 예상 월액을 산정합니다.

☑️ 2015년 12월 31일 이전 재직기간 연금액 = 평균기준소득월액 × 재직기간(연) × 연금지급률(1.9% 적용, 2010년 이전 기간 별도 계산)
☑️ 2016년 1월 1일 이후 재직기간 연금액 = 평균기준소득월액 × 재직기간(연) × 연도별 연금지급률
  • 재직기간: 재직 개월 수를 12(개월)로 나누어서 연 단위로 계산합니다.
  • 평균기준소득월액: 전체 재직기간 동안 기준소득월액을 평균으로 계산한 금액입니다.
  • 연금지급률: 2016년 1.9%로 시작해서 2035년까지 단계적으로 1.7%로 인하.(2025년 기준 지급률은 1.74%)

연금 개시 연령에 도달하면 사학연금을 수령할 수 있는데, 만약 조기 수령하면, 75~95%의 연금을 수령합니다.

사학연금 수령액 FAQ

사학연금 수령액 FAQ에서는 사학연금 수령액과 관련하여 많은 분들이 질문 주시는 내용들을 바탕으로 답변을 통해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Q1. 사학연금은 어떻게 조회할 수 있나요?

A1. 사학연금 수령액은 사학연금 홈페이지 또는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Q2. 수령할 수 있는 사학연금의 종류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A2. 퇴직연금, 퇴직일시금, 조기퇴직연금, 장해연금, 유족연금이 있습니다.
– 퇴직연금: 연금 개시 연령 이후부터 매월 수령하는 기본 연금.
– 퇴직일시금: 퇴직 시 일시에 받는 금액.
– 조기퇴직연금: 최대 5년 미리 받을 수 있지만, 연금액이 최대 25% 감액.
– 장해연금: 재직 기간 중 질병, 부상 또는 장애가 발생했을 때 지급받는 연금.
– 유족연금: 사학연금 가입자가 사망하였을 때, 유족에게 지급하는 연금으로 퇴직연금의 약 60% 수준을 지급.

Q3. 사학연금 수령액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A3. 사학연금 수령액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가입기간이 늘어날수록 유리하며, 최대 36년까지 인정받을 수 있어 재직기간을 연장하거나 최대한 정년까지 근무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조기퇴직은 최대 25% 연금 수령액이 감액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고, 연기연금제도를 활용해서 연금 수령을 늦추면 최대 30%까지 연금 수령액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학연금 수령액이 늘어나도록 연기하는 것보다 조기 또는 정년에 수령해서 세금이나 보험료, 기타 기회비용도 함께 고려해보고 결정해야 합니다.

Q4. 유족연금은 얼마나 지급받을 수 있나요?

A4. 사학연금 가입자가 사망하면, 유족에게 퇴직연금의 약 60%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유족은 배우자와 자녀, 부모 등 법적 수급권자를 말하며, 상황에 따라 지급 요건과 범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Q5. 연금 수령 중 재취업하면 어떻게 되나요?

A5. 재취업으로 일정 기준 이상의 소득이 발생하면, 사학연금 수령액이 감액될 수 있습니다.
– 일부 감액: 근로·사업소득의 월평균금액이 전년도 평균연금월액을 초과하면, 최대 50%의 연금 수령액이 감액됩니다.
– 전액 감액: 정부 전액 출자·출연기간 등의 일정 기관에 재취업하거나 고액 소득은 전액 감액되는 기준이 정해져 있습니다.(2025년 기준 월 8,832,000원)

인기 많은 최신 글

사학연금 수령액 조회 및 계산 방법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