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를 선택할 때는 가장 중요한 부분은 진료 시 친절한지 믿을 수 있는지 등 다양한 요소로 결정합니다. 이외에도 소아과 등급 조회하는 방법을 통해 부모가 병원을 선택할 때, 좀 더 도움을 얻을 수 있도록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소아과 등급이란?
자녀를 데리고 소아과를 다녀보신 분들이라면 많이 아시겠지만, 대부분의 소아과 선생님들은 항생제를 사용할지 여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합니다.
항생제는 세균을 죽이거나 증식을 막아서 감염 통제, 증상과 발열을 줄이고, 합병증의 위험을 낮추며, 전염성 세균 감염의 전파를 줄일 수 있습니다. 다만, 항생제는 감기나 대부분의 급성 기관지염, 독감과 같은 바이러스성 질환에는 효과가 없다는 질병관리청의 지침도 있습니다.
항생제는 불필요·과다 사용 시에는 원인균이 항생제에 내성이 생겨 효과가 떨어집니다. 또한, 설사, 발진, 알레르기, 장내미생물 교란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항생제는 급성상기도 감염 항생제와 급성하기도 감염 항생제 2가지 종류로 크게 나누어볼 수 있습니다.(약의 종류는 아닙니다.)
- 급성상기도 감염 항생제: 상기도(코·부비동·인두·편도·중이)의 세균성 급성 감염에 사용하는 항생제군
- 급성하기도 감염 항생제: 하기도(기관지·세기관지·폐)의 세균성 급성 감염에 사용하는 항생제군
항생제는 바이러스성 감염(감기·대부분의 급성 기관지염·독감)에는 효과가 없고, 세균성으로 판단될 때, 의사가 최종적으로 처방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부모라면 이런 내용보다는 특정 병원에서는 항생제 처방이 잦거나 항생제를 자주 처방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부모들끼리 하고는 합니다.
이런 부분을 소아과 등급 조회를 통해 항생제를 얼마나 처방하는지 처방률 등급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아과 등급 조회하는 방법
소아과 등급 조회하는 방법은 급성상기도 감염 항생제 처방률과 급성하기도 감염 항생제 처방률의 등급을 조회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소아과 등급 조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홈페이지 화면에서 [의료정보] 메뉴에 마우스를 올려놓은 다음 [병원·약국 찾기] 메뉴를 누릅니다.
3. 왼쪽 카테고리에서 [우리 지역 좋은 병원 찾기] 메뉴를 누릅니다.
4. 우리 동네 지역(시·도, 시·군·구, 읍·면·동)을 선택합니다.
- 필요한 경우 병원명을 입력해서 특정 소아과 병·의원을 검색합니다.
5. 평가 정보에서 [약제] 항목을 선택하고, 세부항목은 [급성상기도 감염 항생제 처방률/급성하기도 감염 항생제 처방률] 항목을 선택합니다.
6. 등급 설정은 [전체] 항목을 선택하고, [검색] 버튼을 누릅니다.
7. 지도 위에서 소아과 병원명을 눌러서 요양기관 정보 창을 실행합니다.
8. 상단에 [평가 정보] 탭을 누른 다음 화면을 아래로 내려서 급성상기도(급성하기도) 감염 항생제 처방률 등급을 확인합니다.
처방률 등급을 통해 소아과 등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진료 실적이 많지 않다면 등급 제외로 등급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항생제 처방률 등급은 1등급부터 5등급까지 나누어지며, 항생제의 종류에 따라 각 처방률에 따라 등급을 부여합니다.
- 급성상기도 감염 항생제 처방률 등급: 1등급 20% 이하, 2등급 20~31% 이하, 3등급 31~43% 이하, 4등급 43~59% 이하, 5등급 59~100% 이하
- 급성하기도 감염 항생제 처방률 등급: 1등급 30% 이하, 2등급 30~45% 이하, 3등급 45~60% 이하, 4등급 60~75% 이하, 5등급 75~100% 이하
보건의료 빅데이터 개방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 전체 평균은 2024년 기준 45.20%로 3등급이 평균이며,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은 기준 전체 평균은 61.86%로 3등급이 평균입니다.
따라서 항생제 처방률을 통해 해당 소아과 병원에서 항생제를 얼마나 많이 처방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처방률에 표시되어 있는 등급을 누르면, 해당 병원의 처방률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이상으로 소아과 등급 조회하는 방법을 모두 설명해 드렸습니다. 소아과 등급 조회를 통해 평균적으로 얼마나 항생제를 적게 처방하고 있는지 참고해서 각 소아과를 이용할 때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또한, 소아과 등급인 항생제 처방률은 좋은 병원을 판단할 수 있는 근본적인 방법은 아닙니다. 쉽게 말해 낮은 처방률이 무조건 최선은 아닙니다. 따라서 등급 조회는 참고할 수 있는 자료 정도로 판단하고, 진료 시 얼마나 친절하고 상세한 설명을 들어보고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인기 많은 최신 글
애플페이 티머니 교통카드 등록 방법(선불 충전 및 사용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