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체국 등기 및 택배 조회 2가지 방법

우체국 등기와 택배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등기 번호 또는 택배 번호가 부여되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등기 번호나 택배 번호를 모르는 경우에도 우체국 등기 및 택배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우체국 등기 및 택배 조회 2가지 방법을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체국 등기번호

우체국 창구에 내가 방문하거나 내가 원하는 장소로 우체국 직원이 방문하는 방식으로 택배나 등기를 보낼 수 있습니다. 우체국에서 등기나 택배를 보내면 13자리의 등기번호를 영수증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등기번호는 송장번호 또는 운송장 번호, 택배 번호 등으로 불리며, 우체국 등기번호에는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등기번호를 예로 들어 ①②②②②-③③④④-④④④④로 이루어져 있다면, ①번은 어떤 종류 등기인지 확인할 수 있는 용도입니다.

①의 숫자가 1이라면 일반, 익일특급, 통화 등기, 외화등기, 선택등기 등이며, 2라면 특별송달, 3은 내용증명, 4는 계약등기, 5는 준등기, 6은 등기소포, 7은 착불등기소포, 8은 우체국 쇼핑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②번은 4자리 숫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접수국 코드를 의미합니다. 원래 접수국 코드는 5자리로 이루어져 있지만, 앞 4자리만 사용해서 기록하며 만약 선납 등기인 경우에는 ‘0690’으로 통일해서 표시합니다.

③번은 2자리 숫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접수국 창구 번호를 말합니다. 마지막으로 ④번은 6자리 숫자로 이루어져 있는데, 접수 순서를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우체국 등기번호에는 큰 의미가 담겨 있으며, 우체국에서 보낸 등기나 소포(택배)의 현재 위치나 각종 배송 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우체국 등기 및 택배 조회 2가지 방법

우체국 등기 및 택배를 조회 등기번호를 아는 경우와 모르는 경우 2가지 경우로 나누어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등기번호를 아는 경우 우체국 등기 및 택배 조회하는 방법과 등기번호를 모르는 경우 조회하는 방법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등기번호(운송장번호)로 조회하기

등기번호(운송장번호)를 아는 경우에는 우정사업본부 홈페이지 또는 네이버 택배배송 조회 서비스를 이용해서 쉽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등기번호 13자리만 입력하면, 쉽게 우체국 등기와 택배를 조회해 볼 수 있습니다.

우체국 등기 및 택배 등기번호(운송장번호)로 조회하기 1

단순하게 네이버에서 ‘우체국 택배 조회’만 검색하더라도 운송장 번호를 하이픈(-)을 빼고 입력하면, 쉽게 우체국 택배를 조회해 볼 수도 있습니다.

우체국 등기 및 택배 등기번호(운송장번호)로 조회하기 2

다만, 등기번호(운송장 번호)를 모르는 경우에는 전화번호로 우체국 등기 및 택배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로 조회하기

전화번호로 조회하기는 휴대전화와 일반 전화기 2가지 종류의 전화번호로 모두 조회해 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 기본적으로 우체국에서는 등기나 택배를 보낼 때는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전화번호를 기재합니다. 이를 이용해서 전화번호로도 등기번호(운송장 번호)를 대신해서 등기 및 택배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우체국 등기 및 택배를 전화번호로 조회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인터넷 우체국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홈페이지 화면 우측 ‘고객정보로 조회’ 탭에 있는 “전화번호로 조회” 버튼을 누릅니다.

우체국 등기 및 택배 전화번호로 조회하기 1

3. 로그인 화면에서 회원가입 버튼을 누른 다음 가입 후 로그인합니다.

4. “전화번호/영수증(접수) 번호” 탭을 누릅니다.

5. 우체국 등기 및 택배를 접수한 날짜가 속하는 기간을 선택합니다.

6. 등기 또는 택배를 보낸 사람의 휴대전화 번호라면 “보내는 분”을 선택하고, 받는 사람의 휴대전화 번호라면 “받는 분”을 선택합니다.

7. “휴대전화” 옵션을 선택하고, 휴대전화 번호를 입력 후 “조회” 버튼을 누릅니다.

우체국 등기 및 택배 전화번호로 조회하기 2

휴대전화 번호로 조회한 결과에서 등기번호와 접수일자, 접수우체국, 배달결과, 배달일자, 보내는 분과 받는 분까지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배송진행 상황을 통해 접수 날짜와 시간부터 도착하는 과정을 모두 살펴볼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조회는 휴대전화 번호 또는 일반전화번호 모두 조회할 수 있으며, 영수증(접수) 번호를 입력해서도 조회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전화번호로 조회하는 서비스는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해야 합니다. 로그인을 해야 하는 이유는 본인 명의 휴대전화 번호로만 조회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쉽게 말하면, 나의 휴대전화 번호를 입력해서 택배나 등기를 보낸 경우와 나에게 보낸 택배나 등기에 받는 사람의 휴대전화 번호가 내 번호로 등록한 경우에만 조회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업자 회원의 경우에는 영수증(접수) 번호로 조회는 가능하지만, 휴대전화나 일반전화번호로는 조회할 수 없습니다.

이상으로 우체국 등기 및 택배 조회 2가지 방법을 모두 설명해 드렸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우체국 등기, 택배(소포)를 등기번호(운송장번호)와 전화번호로 조회하는 2가지 방법을 알려 드렸습니다. 2가지 방법을 활용해서 우체국으로 보냈거나 받아야 할 택배를 언제 받을 수 있는지 배송이 잘 되었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라이프 카테고리 추천 글

1. 우체국 택배 요금 계산기(택배 요금표)

2. 음식물 과민증 검사 – 종류 및 가격과 실비 보상 여부

3. 잠복결핵 검사 비용 및 병원 조회 방법

4. 한글 영문 변환기(영문이름 변환기)

5. 영문주소 변환기

우체국 등기 및 택배 조회 2가지 방법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