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를 결정할 때는 차트뿐만 아니라 기업의 재무 상태와 경영 성과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투자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국내 주식과 해외 주식의 재무제표를 어디서 볼 수 있는지 재무제표 사이트 추천 및 보는 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재무제표란
재무제표(財務諸表 , financial statement)는 기업의 특정 시점 및 기간의 재무 상태와 경영 성과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공식 보고서로 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자동변동표를 말합니다.
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 Balance Sheet)는 특정 시점 기업의 자산과 부채, 자본(재산, 빚, 순자산) 현황을 볼 수 있는 기업의 재정 스냅샷과 같습니다.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Income Statement)는 일정 기간(분기, 연도) 동안의 수익, 비용, 이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기업이 쓴 돈과 번 돈을 비교하고 순이익 또는 순손실을 볼 수 있어 기업에서 얼마나 효율적으로 돈을 벌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금흐름표(Cash Flow Statement)는 회계 기간 내의 현금 흐름(유입, 유출)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기업에 현금이 얼마나 들어오고 나갔는지 영업 활동과 투자 활동, 재무 활동으로 구분해서 볼 수 있으며, 기업의 현금 유동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자본변동표(Statement of Changes in Equity)는 일정 기간 동안 자본의 증감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주주와의 거래나 이익잉여금의 변화 등을 통해 자본의 변동 내역을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재무제표란 무엇인지 알아보았으니 본격적으로 재무제표를 볼 수 있는 사이트는 어떤 곳이 있는지 자세하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재무제표 사이트 추천 및 보는 법
재무제표 사이트란 기업의 재무제표를 볼 수 있는 사이트를 말합니다. 재무제표를 볼 수 있는 사이트는 국내 주식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의 재무제표를 볼 수 있는 국내 재무제표 사이트와 미국을 비롯한 해외 주식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의 재무제표를 볼 수 있는 해외 재무제표 사이트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국내 재무제표 사이트
국내 재무제표 사이트는 DART(금융감독원 전자공시), KIND(KRX 상장공시시스템), FnGuide, 네이버페이 증권 등 다양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여러 사이트들 중에서도 국내 재무제표는 네이버페이 증권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편리합니다. 네이버페이 증권에서 국내 재무제표 사이트들을 차례대로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네이버페이 증권 재무제표 보는 법
우선 네이버페이 증권 페이지에 접속해야 합니다.
우측 상단 검색 창에 재무제표를 보고 싶은 기업의 종목을 입력해서 검색합니다.
“종목분석” > “재무분석” 메뉴로 들어간 다음 포괄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 현금흐름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페이 증권에서는 포괄손익계산서에서 중요한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영업이익률, 순이익률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는 그래프와 수익 성장성 지표인 매출액증가율, 영업이익증가율, 순이익증가율 그래프를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재무상태표 주요 재무항목(자산총계, 부채총계, 부채비율)과 자산성장성지표(총 자산증가율, 유동자산증가율, 유형자산증가율, 자기자본증가율) 그리고 현금흐름표에서 주가&CAPEX(영업활동현금흐름, CAPEX, 당기순이익, 보통주·수정주가), 주가현금흐름비율(CPS, PCR, P/C)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그래프가 있습니다.
따라서 일일이 숫자를 보지 않더라도 재무제표의 중요한 부분을 연간 또는 분기 단위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합니다.
DART 재무제표 보는 법
DART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를 말합니다. DART는 가장 공신력 있는 원본 재무제표를 볼 수 있는 곳입니다.
DART 홈페이지에 접속한 다음 정기공시 항목별 검색 박스에 검색 창에 기업명을 입력합니다.
재무정보에서 필요한 재무제표를 체크 표시(☑️)하고, “검색” 버튼을 누릅니다.
KRX 상장공시시스템 재무제표 보는 법
KRX 상장공시시스템에서는 요약 재무제표와 업종 및 동종사 비교 기능이 있어 편리한 부분이 있습니다.
KIND 홈페이지에 접속한 다음 “전체 메뉴 보기” 버튼을 누릅니다. 상장법인 상세 정보 카테고리에 있는 “회사재무비교” 메뉴를 누릅니다.
회사별 재무통계 페이지에서 여러 개의 기업명을 입력한 다음 추가합니다.
분석 형태(요약재무정보, 요약재무비율)를 선택하고, 결산 연도와 결산구분 옵션을 선택합니다. 결산 항목을 선택하고, “검색” 버튼을 누릅니다.
검색 결과에서 추가한 기업의 재무제표를 한눈에 비교 분석할 수 있습니다.
국내 재무제표 사이트를 알려 드렸으니 이제 해외 재무제표 사이트도 이어서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해외 재무제표 사이트
이전 미국 주식 정보 사이트 추천(기업 분석, 재무 데이터, 커뮤니티) 글에서 재무 데이터를 통해 기업을 분석할 수 있는 사이트, 투자 대가들이 투자한 주식을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 가치투자자들의 커뮤니티 사이트 3가지 종류의 사이트를 설명해 드린 적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재무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는 매크로 트렌드(Macro Trends)라는 사이트입니다.
대부분 해외 재무제표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는 과거 5년 데이터만 제공하는 경우가 많지만, 매크로 트렌드 사이트는 과거 15년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매크로 트렌드 사이트에서 해외 주식 종목명을 입력한 다음 “Financials” 메뉴로 들어가면 Income Statement(손익계산서, 포괄손익계산서), Balance Sheet(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 Cash Flow Statement(현금흐름표), Key Financial Ratios(핵심 재무비율) 재무제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를 이용해 보시면 알겠지만, 매크로 트렌드는 회원가입이나 로그인을 하지 않고, 무료로 15년 재무제표를 볼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이상으로 재무제표 사이트 추천을 모두 해드렸습니다. 재무제표를 볼 수 있는 사이트는 다양하지만, 각각의 사이트에서 재무제표를 보는 법과 볼 수 있는 원본 데이터 이외에도 추가적으로 유용하게 볼 수 있는 데이터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알려드린 국내 및 해외 재무제표 사이트를 유용하게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재무제표 FAQ
Q1. 재무제표의 기본 구성 요소는 무엇인가요?
A1.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가 있습니다.
Q2. 손익계산서와 현금흐름표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A3. 손익계산서에서는 수익과 비용, 즉 발생주의에 따라 기업의 손익을 산출하지만, 현금흐름표에서는 실제 현금의 유입과 유출을 기준으로 작성합니다.
Q3. 재무제표에서 가장 많이 보고, 중요한 재무비율은 무엇이 있나요?
A3. 부채비율(부채/자본), 유동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 순이익률 등이 대표적으로 가장 많이 보며, 중요한 재무비율입니다.
Q5. 재무제표를 이해하려면 회계 지식이 중요한가요?
A5. 아닙니다. 전문적인 회계 지식이 없더라도 재무제표를 통해 기업의 큰 그림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손익계산서의 매출액이나 영업이익, 재무상태표의 자산과 부채와 같은 주요 항목들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다만, 재무제표를 보다 더 깊이 분석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회계 지식을 학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Q6. 재무제표에서 어떤 항목을 우선적으로 보아야 하나요?
A6. 어떤 목적으로 재무제표를 보는지에 따라 우선적으로 보아야 하는 항목이 달라집니다.
기업의 수익성을 확인하려면, 손익계산서의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을 먼저 보아야 합니다.
기업의 안정성을 확인하려면, 재무상태표의 자산, 부채, 자본 비율과 유동비율, 부채비율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기업의 현금 흐름을 확인하려면, 현금흐름표를 통해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어떤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Q7.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A7. 재무상태표는 특정 시점의 자산, 부채, 자본 구조를 볼 수 있지만, 손익계산서는 기간 중 수익과 비용 흐름을 볼 수 있습니다.
Q8. 연결재무제표와 개별재무제표는 무슨 차이인가요?
A8. 연결재무제표는 모회사와 자회사의 실적을 하나로 합친 종합 성적표라고 볼 수 있으며, 개별재무제표는 모회사의 단독 실적입니다. 다국적 및 복수 법인 구조라면 연결재무제표의 수치가 실질을 더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Q9. 공시 기한은 언제인가요?
A9. 한국 12월 결산법인 기준으로 사업보고서는 다음 해 3월 30일(90일) 내, 분기와 반기 보고서는 해당 기간 종료 후 45일 내에 제출해야 합니다.
Q10. IFRS와 GAAP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A11. IFRS는 원칙-중심(Principles-Based)이고, GAAP는 규칙-중심(Rules-Based)입니다. 예를 들어 GAAP는 LIFO 재고 방식1을 허용하지만, IFRS는 금지합니다.
Q11. 비상장 기업의 재무제표를 볼 수 있나요?
A11. 자산, 매출, 부채가 일정 규모 이상인 외부감사 대상 법인이라면, 비상장 기업이더라도 감사보고서와 재무제표를 DART에 제출해야 합니다. 다만,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공시 의무가 면제될 수 있습니다.
인기 많은 최신 글
파이코인 노드 설치 방법(도커 설치, 포트포워딩 설정 포함)
- LIFO(Last‑In, First‑Out): 재고 평가 방식은 가장 최근에 입고된 재고를 가장 먼저 판매한 것으로 간주해서 매출원가(COGS)를 계산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창고에 들어온 순서와 반대 방향으로 원가를 배분하는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