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매매와 보관은 국내 또는 해외 가상자산 거래소를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코인 개인지갑을 활용하면, 거래소 지갑보다 훨씬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코인 개인지갑 만드는 방법을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코인 개인지갑이란
코인 개인지갑은 거래소와 같은 중개인의 서버가 아닌 사용자 본인이 직접 암호화폐의 비밀키(Private Key)를 생성하여 비트키온, 이더리움 등의 암호화폐(디지털 자산)를 안전하게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는 도구를 말합니다.
코인 개인지갑은 핫월렛, 콜드월렛, MPC 월렛 3가지 종류로 나누어볼 수 있습니다.
- 핫월렛(Hot Wallet) : 인터넷이 연결된 상태에서 작동하는 모바일·데스크톱 앱(예: Trust Wallet, MetaMask)
- 콜드월렛(Cold Wallet) : 오프라인 전용 USB·스마트카드형 기기(예: Ledger Flex, Trezor Model One)
- MPC 월렛 : 비밀키를 여러 조각으로 분산‑보관해 “시드 문구”가 사라진 차세대 형태(예: Zengo)
그렇다면, 개인지갑을 왜 만들어야 하는지 장점을 알아보고, 코인 개인지갑 만드는 방법까지 함께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개인지갑 장점
코인 개인지갑은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완벽하게 확보할 수 있습니다. 거래소 지갑에 저장되어 있는 코인은 온전하게 소유권이 사용자에게 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지갑은 본인만이 키를 소유하기 때문에 자산에 대한 권한이 100%입니다.
거래소가 해킹되거나 거래소 서비스 중단, 상장폐지 등으로 인해 코인을 잃을 수도 있지만, 개인지갑에 넣어 놓은 코인은 이런 리스크를 회피할 수 있습니다. 개인지갑에 있는 코인은 거래 이력이나 자산 보유 내역이 거래소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프라이버시 보호를 할 수 있습니다.
개인지갑은 키가 없다면 접근도 불가능하고 실수로 전송한 코인의 경우 복구도 불가능합니다. 개인지갑은 탈중앙화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정부(경찰, 검찰 등)를 비롯한 그 누구도 개인지갑에 있는 디지털 자산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이처럼 코인 개인지갑은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코인을 거래하는 투자자라면, 코인 개인지갑을 만들어서 보유하고 있는 코인을 보관해 놓을 수 있습니다.
코인 개인지갑 만드는 방법
앞서 설명해 드린 코인 개인지갑 중에서 트러스트 월렛이나 메타 마스크를 사용해서 코인 개인지갑을 많이 만들고 있습니다.
지갑 서비스명 | 유형 | 특징 |
---|---|---|
트러스트월렛 | 모바일/핫월렛 | 다양한 코인 지원, 사용자 친화적 |
메타마스크 | 브라우저 확장/핫월렛 | 이더리움 기반 토큰과 웹3 연동 |
코인베이스 월렛 | 모바일/핫월렛 | 코인베이스와 연동, 인터페이스 간단 |
레저(Ledger) | 하드웨어/콜드월렛 | 오프라인 보관, 최고 수준의 보안 |
세이프팔(SafePal) | 하드웨어/콜드월렛 | USB 등 외부 장치로 완전 오프라인 관리 |
베스트월렛 | 모바일/핫월렛 | 멀티체인 지원, 손쉬운 UI |
디센트(D’CENT) | 하드웨어/콜드월렛 | 생체인식 지원, 높은 보안성 |
이외에도 코인베이스 월렛, 레저(Ledger), 세이프팔(SafePal), 베스트 월렛, 디센트(D’CENT) 등 다양한 개인지갑을 만들 수 있는 서비스가 있지만, 이번 글에서는 트러스트 월렛과 메타 마스크 서비스를 이용해서 코인 개인지갑 만드는 방법을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트러스트 월렛 개인지갑 만들기
트러스트 월렛 개인지갑은 휴대폰에 트러스트 월렛 앱을 설치한 다음 간단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트러스트 월렛 개인지갑 만들기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트러스트 월렛 개인지갑 생성 바로가기” 버튼을 누른 다음 휴대폰에 “Trust: Crypto & Bitcoin Wallet” 앱을 설치합니다.
2. 설치한 트러스트 월렛 앱을 실행한 다음 “새로운 지갑 생성” 버튼을 누릅니다.
3. 코인 개인지갑에서 사용할 비밀번호 숫자 6자리를 입력해서 개인지갑 생성을 완료합니다.
트러스트 월렛 개인지갑의 경우에는 바이낸스(Binance)와 코인베이스(Coinbase) 거래소 지갑에 가지고 있는 코인을 보다 쉽게 옮길 수 있으며, 다른 지갑에 가지고 있는 코인도 쉽게 수령하거나 전송도 가능합니다. 또한, 가상자산을 구매하거나 판매, 스왑도 가능합니다.
메인 지갑에서 “자금” 버튼을 누르면, 가상자산을 구매하거나 거래소(바이넨스, 코인베이스) 지갑에서 보유하고 있는 코인을 개인지갑으로 전송하거나 기타 다른 거래소 또는 개인지갑에 보유하고 있는 코인을 수령할 수도 있습니다.
메타 마스크 개인지갑 만들기
트러스트 월렛 개인지갑과 마찬가지로 메타 마스크 개인지갑도 휴대폰에 앱을 설치해서 간단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1. “메타 마스크 개인지갑 생성 바로가기” 버튼을 누른 다음 휴대폰에 “MetaMask – 블록체인 지갑” 앱을 설치합니다.
2. 앱을 실행한 다음 “시작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3. 필수 약관에 동의한 다음 “새 지갑 생성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4. 개인지갑에 사용할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Creat password” 버튼을 누릅니다.
5. 비밀 복구 구문을 만들기 위해 “Get started” 버튼을 누릅니다.
6. 복구 구문을 별도로 메모 또는 저장해 놓은 다음 “계속” 버튼을 누릅니다.
메타 마스크에서 코인 개인지갑 생성을 완료한 다음 하단 중앙 메뉴를 누른 다음 “보내기” 버튼을 눌러서 코인을 다른 개인지갑이나 거래소 지갑으로 전송하거나 “받기” 버튼을 눌러서 메타 마스크 개인지갑으로 암호화폐를 수령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코인 개인지갑 만드는 방법 2가지로 트러스트 월렛과 메타 마스크 개인지갑 만들기 방법을 모두 설명해 드렸습니다. 추가적으로 코인 개인지갑과 관련하여 자주 묻는 질문들을 FAQ에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코인 개인지갑 FAQ
Q1. 코인 개인지갑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나요?
A1. 대부분의 소프트웨어 지갑은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하드웨어 지갑의 경우에는 기기 구매 비용이 발생합니다.
Q2. 개인지갑을 잃어버리면, 디지털 자산도 사라지게 되나요?
A2. 지갑 자체를 잃어버리거나 휴대폰을 바꾸더라도 복구 구문(프라이빗 키)만 잘 보관해두면 언제든지 복구 가능합니다.
Q3. 거래소 지갑과 개인지갑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A3. 거래소 지갑에 있는 디지털 자산에 대한 실질 소유권은 거래소에 있습니다. 다만, 개인지갑은 본인 소유의 키로 직접 관리하기 때문에 실질 소유권이 본인에게 있으며, 보안성과 독립성이 더 높은 차이가 있습니다.
Q4. 핫월렛과 콜드월렛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A4. 핫월렛은 온라인 연결과 실시간 거래에 편리하지만 해킹에 위험성이 있습니다. 콜드월렛은 오프라인 보관으로 보안이 훨씬 우수한 장점이 있습니다.
Q5. 시드 문구를 분실해도 복구 가능한가요?
A5. 시드 문구 기반 지갑은 분실하면 복구가 불가능합니다. 다만, MPC 지갑(Zengo)은 키가 분산되어 복구 키트·생체 인증으로 복구할 수 있습니다.
Q6. 핫월렛과 콜드월렛을 동시에 사용해도 되나요?
A6. 동시에 사용 가능하며, 권장합니다. 일상 거래 시에는 핫월렛 개인지갑을 사용하고, 장기 보관 시에는 콜드월렛으로 분리해서 보관하면, 해킹이나 피싱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Q7. 거래 수수료(가스)는 지갑 회사에 내는 건가요?
A7. 아닙니다. 네트워크 채굴자·검증자에게 지불하며, 지갑은 이를 전달만 합니다. 담합 우려가 없도록 직접 수수료(가스) 값을 조정할 수도 있습니다.
Q8. 여러 개의 체인 자산을 하나의 지갑 주소로 받을 수 있나요?
A8. EVM 체인은 주소가 같더라도 네트워크가 다르면 별개입니다. 송금 전에 체인 표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다른 체인 주소로 암호화폐를 잘못 전송하게 되면, 복구가 불가능하니 주의해야 합니다.
Q9. 하드월렛을 잃어버렸는데, 시드 문구는 그대로입니다. 자산은 안전한가요?
A9. 네. 새 하드월렛에 시드 문구를 입력해서 동일한 주소를 재생성할 수 있습니다. 기기 자체에는 자산이 저장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Q10. 개인지갑 주소는 은행 계좌번호와 같은 건가요?
A10. 유사하다고 볼 수 있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은행 계좌번호는 은행 시스템 내에서 특정 계좌를 식별하는데 사용하지만, 개인 지갑주소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암호화폐를 주고받을 수 있는 공개 주소입니다.
따라서 코인 개인지갑 주소는 누구나 볼 수 있으며, 주소로 암호화폐를 전송하면 해당 지갑으로 코인이 들어오게 됩니다.
Q11. 코인 개인지갑에 암호화폐를 넣어두면 안전한가요?
A11. 올바르게 관리한다면, 거래소 지갑보다 훨씬 안전하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하드웨어 지갑은 가장 높은 보안 수준입니다. 다만, 시드 구문 관리에 소홀해서 분실하거나 피싱 공격, 악성 프로그램 감염 등의 사용자 부주의에 따라 위험성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코인 개인지갑은 스스로 보안에 신경 써야 합니다.
Q12. 여러 종류의 암호화폐를 개인지갑 하나에 보관할 수 있나요?
A12. 지갑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대부분 범용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지갑의 경우에는 다양한 종류의 암호화폐 보관을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 기반의 ERC-20 토큰들은 하나의 이더리움 주소로 관리할 수 있으며, 비트코인 등의 다른 메인넷 코인들도 해당 지갑에서 지원하면 보관 가능합니다.
다만, 일부 지갑은 특정 코인만 지원하기 때문에 사용하려는 지갑에서 어떤 종류의 암호화폐를 지원하는지 미리 확인해야 합니다.
Q13. 개인 지갑 사용 시 수수료가 발생하나요?
A13. 지갑 자체를 사용하고 관리할 때는 별도의 수수료가 없습니다. 다만, 개인지갑에 있는 암호화폐를 다른 지갑이나 거래소로 송금할 때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수수료(트랜잭션 수수료, Gas Fee)가 발생합니다.
인기 많은 최신 글
파이코인 노드 설치 방법(도커 설치, 포트포워딩 설정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