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 중위소득은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라 매년 산정하여 고시하고 있으며, 각종 복지 급여와 제도를 수급하고 이용하기 위한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6년 기준 중위소득과 기초생활수급자 급여별 선정 기준은 얼마인지 알아보고, 2026년 기준 중위소득 계산기를 통해 내가 속한 가구의 기중 중위소득 백분율과 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2026년 기준 중위소득 계산기
급여 | 기준(%) | 기준액(원/월) | 판정 |
---|
2026년 기준 중위소득
기준 중위소득은 보건복지부 장관이 중앙생활보장위원회 심의 및 의결을 거쳐 매년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가구원 수별 중간값(중위값)을 말합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각종 복지사업의 선정 기준으로 활용합니다.
구분 | 2025년 | 2026년 | 인상률 |
---|---|---|---|
1인 가구 | 2,392,013원 | 2,564,238원 | 7.20% |
2인 가구 | 3,932,658원 | 4,199,292원 | 6.78% |
3인 가구 | 5,025,353원 | 5,359,036원 | 6.64% |
4인 가구 | 6,097,773원 | 6,494,738원 | 6.51% |
5인 가구 | 7,108,192원 | 7,556,719원 | 6.31% |
6인 가구 | 8,064,805원 | 8,555,952원 | 6.09% |
7인 가구 | 8,988,428원 | 9,515,150원 | 5.86% |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은 2025년 기준 중위소득 대비 최대 7.2%가 인상되었습니다.
2026년 기준 중위소득에는 7인 가구까지만 기준 중위소득을 확인할 수 있는데, 8인 이상 가구의 기준 중위소득은 아래와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 8인 이상 가구 기준 중위소득 계산식 = [7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 (7인 - 6인 차액)] × 추가 인원수
2026년 기준 중위소득 8인 가구를 계산해 보면, 10,474,348원, 9인 가구는 11,433,546원입니다. 좀 더 쉽게 계산하려면, 7인 가구원을 초과하는 인원수에 959,198원을 곱한 다음 7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을 더해서 계산할 수도 있습니다.
2026년 기초생활수급자 급여별 선정 기준
2026년 기초생활수급자 급여(생계급여 32%, 의료급여 40%, 주거급여 48%, 교육급여 50%) 모두 2025년 급여별 선정 기준과 동일합니다.
구분 | 생계급여 | 의료급여 | 주거급여 | 교육급여 |
---|---|---|---|---|
선정 기준 | 32% 이하 | 40% 이하 | 48% 이하 | 50% 이하 |
1인 가구 | 820,556원 | 1,025,695원 | 1,230,834원 | 1,282,119원 |
2인 가구 | 1,343,773원 | 1,679,717원 | 2,015,660원 | 2,099,646원 |
3인 가구 | 1,714,892원 | 2,143,614원 | 2,572,337원 | 2,679,518원 |
4인 가구 | 2,078,316원 | 2,597,895원 | 3,117,474원 | 3,247,369원 |
5인 가구 | 2,418,150원 | 3,022,688원 | 3,627,225원 | 3,778,360원 |
6인 가구 | 2,737,905원 | 3,422,381원 | 4,106,857원 | 4,277,976원 |
7인 가구 | 3,044,848원 | 3,806,060원 | 4,567,272원 | 4,757,575원 |
위 2026년 기초생활수급자 급여별 선정 기준 표를 살펴보면, 급여 종류와 가구원 수에 따라 소득 기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6년 기준 중위소득 계산기를 활용해서 가구원수와 가구원 소득을 입력해서 우리 가구원의 기준 중위소득 비율은 몇 퍼센트인지 확인해 보고, 어떤 복지 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기준 중위소득 FAQ
Q1. 기준 중위소득은 어떻게 활용되나요?
A1. 기준 중위소득은 14개 부처와 80여 개 복지 사업의 선정 기준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기초생활보장 생계·주거·의료·교육급여 수급 자격과 급여 수준을 결정합니다.
또한, 국민취업제도, 국가장학금, 아이돌봄서비스 등의 복지 서비스 지원 기준에도 활용됩니다.
Q2.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은 2025년과 비교했을 때, 어떤 부분이 달라졌나요?
A2.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은 지난해 2025년 기준 중위소득 대비 역대 최대폭으로 인상되었습니다.
특히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이 6.51% 증가했으며, 이로 인해 저소득층의 실질적인 생활 수준을 올리고,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Q3.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은 언제부터 적용하나요?
A3. 2026년 1월 1일부터 적용합니다.
Q4. 소득인정액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A4. 소득인정액 계산은 소득평가액과 재산의 소득환산액을 합산해서 산정합니다. 소득평가액은 실제소득에서 각종 공제를 반영하고, 재산은 기본재산액을 뺀 다음 환산율을 적용해서 월 소득으로 환산합니다.
Q5. 1인 가구의 기준 중위소득 인상률이 가장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A5. 2026년 1인 가구 중위소득은 2025년 대비 7.20% 인상하여 가장 높은 인상률을 기록했습니다. 기초생활보장 수급가구에서 1인 가구의 비중이 가장 높기 때문입니다.
Q6. 기준 중위소득을 연간 금액으로 보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6. 보건복지부에서 고시한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은 월 기준으로 고시합니다. 따라서 연간으로 확인하고 싶다면, 각 중위소득 금액에 12개월을 곱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각종 급여와 복지 서비스 선정 및 지급은 월 단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인기 많은 최신 글
파이코인 노드 설치 방법(도커 설치, 포트포워딩 설정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