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핀은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본인 인증을 할 수 있으며, 법정대리인의 인증으로 14세 미만의 미성년자 발급과 본인 명의 휴대폰이 없어도 발급받을 수 있는 본인 인증 수단입니다. 아이핀을 발급받을 수 있는 3곳의 발급기관에서 각각 아이핀 발급 방법을 자세하게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이핀(i-PIN)
아이핀(i-PIN)은 Internet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의 약자로 인터넷 개인 식별 번호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본인 확인을 할 수 있는 본인 인증 수단 중 하나입니다.
개인정보 유출 및 도용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2006년부터 시행하여 2021년까지 행정안전부에서 공공 아이핀을 사용할 수 있었지만, 폐지하면서 현재는 민간 아이핀으로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아이핀은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주민등록번호를 노출하지 않으면서 본인 인증을 할 수 있어 개인정보보호에 활용할 수 있는 대안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4,600개 이상의 공공 웹사이트와 민간 사이트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이핀 발급 기관 및 사용처
아이핀은 앞서 설명해 드린 것처럼 공공 아이핀 제도는 폐지되면서, 민간 기업에서 발급받을 수 있으며, 아이핀 발급 기관은 NICE 평가정보(나이스아이핀), SCI 평가정보(사이렌 24), KCB 코리아크레딧뷰로(OK-name) 3곳이 있습니다.
아이핀 발급 기관의 아주 큰 차이는 없지만, 간단한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나이스아이핀 | OK‑name(KCB) | 사이렌24 |
---|---|---|---|
발급 기관명 | NICE 평가정보 | 코리아크레딧뷰로 | SCI 평가정보 |
대표 앱 | NICE 아이핀 | OK‑name 웹/SDK | Siren24 아이핀 |
주요 2차 인증 | QR·PUSH·지문·FaceID·음성·앱 OTP | 비밀번호·패턴(앱 OTP 준비 중) | QR·지문·PIN·앱 OTP |
인증 알림 | 실시간 PUSH·이력 조회 | SMS·메일(옵션) | 실시간 PUSH·도용차단 |
아이핀 유효기간 | 1년 앱 사용 시 3년 자동연장 | 1년(발급 후 변경 가능) | 1년(표준 규격) |
사용처(공식 발표) | 4,600곳(웹 및 앱) | 실제 약 4,200곳 | 금융·공공·전자상거래 약 3,800곳(기업 API 제공) |
오프라인 발급(대면 발급) | 서울 여의도 본사 창구 | 종로 KCB 센터·일부 은행 제휴 창구 | 종로 본사 창구 |
본인 인증 수단은 다양하지만, 아이핀의 경우에는 포털 사이트, 쇼핑몰, 교육 사이트, 항공, 병원 등 다양한 곳에서 실명 확인, 성인 인증 그리고 아이디나 비밀번호 찾기 서비스를 이용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이핀 발급 기관에서는 모두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으며, 본인 인증 수단으로 이용할 때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이핀 발급 방법
기존 공공아이핀은 주민센터에 방문해서 대면 발급을 받을 수 있었지만, 이제는 공공아이핀 제도가 폐지됨에 따라 주민센터 대면 발급은 받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아이핀 발급 기관인 3곳에서는 온라인 발급과 사업자의 경우 방문 발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온라인 발급 방법의 경우에는 휴대전화 번호 인증이나 공동인증서를 사용해서 확인 절차를 진행하면 짧게는 몇 분 이내에 발급받을 수 있으며, 유효기간인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이핀 발급은 3곳의 발급 기관에서 모두 각각 1개씩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나이스, KCB, 사이렌 24에서 각각 아이핀 발급 방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나이스 아이핀 발급 방법
1. 나이스 아이핀 발급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아이핀 발급 >” 버튼을 누릅니다.
3. 약관 동의 창이 열리면, 약관에 동의하고, “다음” 버튼을 누릅니다.
4. 만 14세 이상인지 여부에 답변합니다.
- 만 14세 미만은 법정대리인 본인 확인 절차를 진행한 다음 나이스 아이핀 발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5. 본인 확인 수단(휴대폰,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을 선택한 다음 본인 인증을 완료합니다.
- 본인 명의 휴대전화,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모두 없는 경우에는 필요 서류를 지참해서 나이스 평가정보 고객센터에 방문해서 아이핀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6. 실명 확인을 위해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실명확인 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7. 아이핀에 사용할 아이디, 비밀번호,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가입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8. 2차 인증수단(패턴, 2차 비밀번호, 앱 인증)을 선택하고, “설정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 개인적으로 앱 인증은 나이스 아이핀 앱을 설치해서 인증해야 하며, 2차 비밀번호의 경우에는 6자리 이상의 영어와 숫자를 입력해야 해서 패턴으로 설정했습니다.
9. 패턴을 설정하고, “설정 완료하기” 버튼을 눌러서 나이스 아이핀 발급을 완료합니다.
NICE 아이핀 페이지에서 “내 아이핀 설정” 버튼을 누른 다음 로그인하려고 하면, NICE 아이핀 앱으로 인증 요청을 해야 한다고 로그인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하단에 있는 “아이디/비밀번호로 인증하기” 버튼을 누르면, 회원가입할 때 사용할 아이디, 비밀번호, 패턴을 사용해서 로그인하고 설정할 수 있습니다.
KCB ok name 아이핀 발급 방법
1. KCB okname 아이핀 발급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아이핀(i-PIN) 탭에 있는 “아이핀 발급하기 >” 버튼을 누릅니다.
3. “KCB 아이핀 발급받기” 버튼을 누릅니다.
4. 약관 및 정보이용 동의 항목에 체크 표시(✅)하고,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5. 연령 확인(만 14세 이상, 만 14세 미만) 옵션을 선택하고,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6. 신원 확인 수단(휴대폰 본인 확인, 카드 본인 확인)을 선택하고,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7. 본인 인증을 완료한 다음 아이핀 ID, 비밀번호,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8. 추가 인증 수단(본인 명의 휴대전화 생체 인증 또는 2차 비밀번호)을 선택하고,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9. 2차 인증 수단을 설정해서 KCB 아이핀(ok name) 발급을 완료합니다.
KCB 아이핀은 2차 인증수단으로 2차 비밀번호를 선택하면, 6자리 숫자로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KBC 아이핀 2차 인증 수단으로 생체 인증보다는 6자리 2차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것이 더 편리합니다.
사이렌 24 아이핀 발급 방법
1. 사이렌 24 아이핀 소개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화면을 아래로 내린 다음 “SIREN24-아이핀 무료 발급” 버튼을 누릅니다.
3. 약관에 동의한 다음 사용자의 연령을 선택합니다.
4. 신원 확인 수단(휴대폰, 공동인증서 또는 대면 확인)을 선택하고, 본인 확인을 완료합니다.
5. 아이핀 사용자 정보(성명, 주민번호, 아이핀 아이디, 비밀번호,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6. 추가 인증 수단(App OTP 인증 또는 2차 비밀번호)을 선택한 다음 사이렌 24 아이핀 발급을 완료합니다.
이상으로 아이핀 발급 방법으로 나이스(NICE) 아이핀, KCB의 ok name 아이핀, 서울평가정보의 사이렌 24 아이핀 발급 방법을 모두 설명해 드렸습니다.
아이핀은 본인 명의 휴대전화가 없거나 해외에 거주하면서 휴대폰 본인인증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분들이 이용할 수 있는 본인 인증 수단입니다. 또한, 미성년자도 법정대리인의 동의 절차를 진행해서 발급받아서 본인 확인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아이핀 FAQ
Q1. 아이핀은 여러 개를 발급받을 수 있나요?
A1. 아이핀 발급 기관인 3개의 사업자에서 각각 1개씩 최대 3개까지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필요한 경우에는 발급받은 아이핀을 폐기한 다음 재발급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Q2. 만 14세 미만의 미성년자도 아이핀을 발급받을 수 있나요?
A2. 미성년자는 법정대리인의 동의 절차를 진행한 다음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동의 절차는 부모의 휴대폰 인증 또는 인증서로 인증할 수 있습니다.
Q3. 아이핀을 발급받은 다음 언제까지 사용할 수 있나요?
A3. 아이핀의 유효기간은 1년입니다. 따라서 발급 후 발급일로부터 1년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금융 카테고리 인기 글
5. 국민연금 유족연금 신청 방법(조건, 수급 대상자, 수령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