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전기세 감면 제도는 출산 가구를 말하며, 이외에도 기초수급자, 차상위계층, 장애인, 보훈대상자, 다자녀가구, 대가족 모두 전기세를 일정 부분 감면받을 수 있는 복지 제도입니다. 3년 미만의 영아가 있는 가구의 신생아 전기세 감면 신청 방법을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신생아 전기세 감면 제도
신생아 전기세 감면 제도는 한국전력공사(KEPCO)의 전기요금 할인제도를 말하며, 복지할인과 특례 할인 중에서 복지할인 제도에 속하는 감면 제도 중 하나이니다.
신생아 전기세 감면 제도는 출산 후 3년까지 전기요금의 최대 30%, 월 16,000원까지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출산 이후부터 아이가 36개월 될 때까지 매월 전기세를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기세가 1만 원이 나왔다면, 30%인 3천 원을 감면받아서 7천 원만 내면 되는 제도입니다.
신생아 전기세 감면 제도가 속해 있는 한전 전기요금 할인제도 중 복지할인 제도에는 신생아 이외에도 장애인 상이유공자, 독립유공자, 기초수급자, 차상위계층, 대가족, 3자녀 이상 가구, 생명유지장치 사용 가구 그리고 사회복지시설까지 모두 전기세를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각 할인 대상자에 따라 정해진 할인율과 한도 내에서 전기세를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신생아 전기세 감면 신청 방법
신생아 전기세 감면 신청 방법은 한국전력공사에서 운영하는 한전 ON 홈페이지에서 신청하는 방법만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전기세와 TV 수신료, 도시가스요금, 지역난방요금까지 모든 요금 감면 대상자가 한 번에 신청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신생아 전기세 감면 대상자의 경우에는 자녀가 태어난 지 3년 미만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어서 신청 대상자가 맞는지 확인이 매우 쉽지만, 다른 대상자의 경우에는 일일이 대상자 여부를 쉽게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쉽게 가면 대상 여부를 확인하고, 감면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 이번 글에서는 신생아 전기세 감면 신청 방법을 자세하게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신생아 전기세 감면 신청을 위해 정부 24 요금 감면 일괄 신청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신청하기” 버튼을 누른 다음 로그인 방식을 선택해서 로그인합니다.
3. 신청인 정보에서 연락처(휴대전화 번호)를 입력합니다.
4. 신청 내용에서 지역(시·도, 시·군·구)을 선택하고, “검색” 버튼을 눌러서 주민등록등본상 주소를 자동 입력합니다.
5. ‘요금감면서비스 이용동의에 대한 유의사항을 읽고 동의합니다.’ 항목을 눌러서 체크 표시(☑️) 합니다.
6. 감면 대상자를 선택하고, 감면 서비스에서 전기요금 항목을 눌러서 체크 표시(✅)합니다.
7. 납부처를 선택하고, 한전 고객번호 입력 및 아파트 여부를 선택하고, “신청하기” 버튼을 눌러서 신생아 전기세 감면 신청을 완료합니다.
신생아 전기세 감면 제도를 비롯한 모든 복지 제도의 대상자를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직접 확인해서 적용해 주면 좋겠지만, 각종 복지 급여와 서비스는 본인이 먼저 신청해야만 받을 수 있도록 설계한 신청주의 원칙에 따르기 때문에 신청하지 않은 분들은 신생아가 있는 출산가구라고 하더라도 전기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기타 전기세 감면 신청 방법
앞서 설명해 드린 신생아 전기세 감면 신청 방법은 정부 24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에서 온라인(인터넷, 모바일) 신청하는 방법이었습니다.
만약 인터넷 또는 모바일 신청이 어려운 분들이라면, 주민센터에 방문하거나 한국전력공사의 한전 ON 홈페이지에서 “민원 신청” > “복지 할인” 메뉴로 이동한 다음 신생아 전기세 감면 신청을 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한국전력공사 고객센터(☎️ 123)에 전화를 걸어서 상담원과 연결한 다음 본인 확인 후 신생아 전기세 감면을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신생아 전기세 감면을 신청하고, 전기요금의 30%를 할인받을 수 있으니 꼭 신청해서 최대 36개월 동안 57만 6천 원의 전기세를 할인받아 보시기 바랍니다.
개인적으로 자녀가 태어나고 나서 수도세와 전기세, 난방비 등이 확연하게 늘어나는 것을 체감하고 있습니다. 빨래를 하더라도 여러 번 해야 하고,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에어컨을 켜거나 따뜻하게 하기 위해서 보일러를 더 돌리거나, 분유를 타기 위해 분유 포트나 정수기를 사용하는 등 여러 모로 사용량이 늘어나게 됩니다.
이런 부분은 매월 고정 지출에서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출산으로 맞벌이 부부의 경우 소득이 줄어들어 경제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런 복지 할인 제도를 이용해서 출산가구라면 전기세 할인을 받아 부담을 덜어내시기 바랍니다.
감면 신청을 하면, 아파트 관리비 명세서의 세대감면내역에 “출산가구 세대전기 할인) 항목으로 전기세 요금 할인이 적용됩니다.
만약 이사를 갔다면 신생아 전기세 감면 신청을 다시 해야 하기 때문에 꼭 새로운 주소지로 전기세 감면 신청을 해서 이사 후에도 신생아 전기세 감면 혜택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복지 카테고리 추천 글
1. 1등급 가전 환급 신청 방법(한전 고효율 가전 환급)
3. 청년도약계좌
4. 홍역 예방접종 병원 및 비용 조회 방법(증상, 감염 경로, 백신 종류, 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