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 안전자산 ETF 추천

퇴직연금 DC, IRP 계좌의 경우 위험자산 70%, 안전자산 30% 비율을 의무적으로 지켜야 합니다. 따라서 위험자산 70% 이상은 투자할 수 없기 때문에 무조건 안전자산으로 30%를 채워야만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퇴직연금 안전자산 ETF 추천을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퇴직연금 안전자산 비율

퇴직연금의 종류에는 DC(확정기여형)1, IRP(개인형 퇴직연금)2, DB(확정급여형)3 3가지로 나누어집니다.

퇴직연금 중에서도 확정기여형과 개인형 퇴직연금은 안전자산의 비율 30%를 의무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규정이 정해져 있습니다. 반대로 말하면, 위험자산을 최대 70%까지만 투자할 수 있습니다.

위험자산에는 주식형 펀드, 주식혼합형 상품 등이 있으며, 안전자산에는 예금, 채권, TDF(타깃데이트펀드), 채권혼합형 펀드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퇴직연금의 70%를 위험자산에 투자한 다음 남은 30%의 안전자산에 투자해야 하는 자금을 현금으로 들고 계신 분들이 종종 있습니다. 현금으로 보유하고 있는 이유는 대부분 투자할 곳을 찾지 못해서 고민 중인 분들이 대부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퇴직연금 안전자산 비율 30%를 어떤 ETF에 투자하면 좋을지 추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퇴직연금 안전자산 ETF 추천

퇴직연금의 자산을 근로자 개인이 직접 투자해야 하는 IRP와 DC는 안전자산과 위험자산으로 나누어서 3:7 비율로 투자해야 합니다. 실제로 동기간 같은 조건으로 근무하더라도 퇴직금 운용 방식에 따라 실제로 퇴직연금의 자산 차이는 꽤 커질 수 있기 때문에 퇴직연금 관리는 상당히 중요합니다.

퇴직연금의 30%를 안전자산에 투자하라는 의미는 노후 자산으로 마련한 퇴직금을 안전하게 운용하라는 의미로 비율을 정해두고 있습니다. 또한, 퇴직연금으로는 인버스, 레버리지, 선물, 옵션 등의 파생상품에는 투자를 할 수 없습니다.

위험자산 70%는 대부분 미국 S&P500이나 나스닥 100 ETF에 투자하는 분들이 많으며, 안전자산 30%를 현금성 자산으로 유지하거나 예금으로 방치해 두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 S&P500과 나스닥 100의 가격이 올라갈수록 비중이 높아지기 때문에 70% 초과 알림 메일 등을 계속 받게 되고, 더 이상 위험자산에 투자하고 싶어도 비중 초과로 투자를 할 수가 없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퇴직연금 안전자산 ETF 추천을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안전자산으로 주식 투자하는 채권혼합형 ETF

안전자산으로 주식에 투자하고 싶다면, 채권혼합형 ETF를 투자하면 됩니다.

채권은 대표적인 안전자산 중 하나이며, 주식은 위험자산입니다. 채권혼합형 ETF는 주식과 채권을 섞은 ETF이지만, 채권 70%와 주식 30% 비중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자산으로 분류합니다.

채권혼합형 ETF 중에서도 주식 30%에는 단일 종목이나 지수, 개별 종목 몇 가지를 혼합한 것으로 나누어볼 수 있습니다.

채권과 지수를 혼합한 ETF(채권 + 지수)에는 대표적으로 3가지 ETF가 있습니다.

  • (435420) TIGER 미국나스닥 100TR채권혼합Fn
  • (438100) ACE 미국나스닥 100 채권혼합액티브
  • (438080) ACE 미국S&P500 채권혼합액티브

위 3가지 ETF는 미국 지수와 채권을 30:70 비율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퇴직연금 안전자산의 30%를 모두 위 3가지 ETF 중 하나에 투자하면, 실제로 전체 퇴직연금의 79%까지 위험자산에 투자할 수 있게 되고, 남은 21%는 안전자산인 채권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2023년 말부터 채권혼합형 펀드의 주식 편입 한도가 40%에서 50% 미만으로 상향 조정되면서, 50:50 비율로 지수와 채권에 투자할 수 있는 ETF도 있습니다.

  • 1Q 미국 S&P500 미국채혼합 50액티브
  • PLUS 미국 S&P500 미국채혼합 50액티브

미국 S&P 500과 미국채가 50%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50% 비율의 ETF에 투자한다면, 실질적으로 퇴직연금의 85%까지 위험자산에 투자하고, 안전자산에는 15%를 투자하게 됩니다.

채권과 여러 개별 종목을 혼합(채권 + 다수 종목)한 ETF에도 3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472170) TIGER 미국테크 TOP10 채권혼합
  • (447620) SOL 미국TOP5채권혼합40 Solactive
  • (449580) KBSTAR 미국빅데이터 TOP3 채권혼합 iSelect

TIGER 미국테크 TOP10 채권혼합 ETF는 미국 상위 10개의 빅테크 기업(애플, 알파벳,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메타, 엔비디아 등)에 40%, 채권에 60% 비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SOL 미국 TOP5 채권혼합 40 Solactive ETF는 국내 채권과 미국 주식 5개 종목(엔비디아, 애플, 알파벳,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으로 60:40 비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KB STAR 미국 빅데이터 TOP3 채권혼합 iSelect ETF는 애플, 아마존, 테슬라 3개의 미국 주식 종목과 대한민국 국고채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채권과 단일 주식 종목(채권 + 단일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는 ETF도 3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447660) ARIRANG 애플채권혼합
  • (447770) TIGER 테슬라채권혼합 Fn
  • (448540) ACE 엔비디아채권혼합블룸버그

이상으로 퇴직연금 안전자산 ETF 추천을 모두 해 드렸습니다. 원금을 보장받을 수 있는 상품의 경우에는 수익률이 낮아서 인플레이션을 대비할 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정 부분의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적극적으로 위험자산에 최대한 많이 투자해서 장기간 동안 퇴직연금을 운용했을 때, 수익을 얻을 수 있는 ETF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퇴직연금 의무화를 계획하고 있는 시점에 전 국민 근로자가 모두 퇴직연금에 가입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퇴직연금 가입 시 어떤 종목이나 지수, 채권에 투자할지 미리 꼼꼼하게 준비해 보시기 바랍니다.

인기 많은 최신 글

  1. DC(확정기여형): 회사에서 근로자의 퇴직연금 계좌에 매년 일정 금액(연간 임금 총액의 1/12)을 납입하고, 근로자가 직접 퇴직금을 운용하는 퇴직연금입니다. ↩︎
  2. IRP(개인형 퇴직연금): 퇴직금과 개인 자금을 추가 납입해서 노후 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연금 계좌입니다. ↩︎
  3. DB(확정급여형): 회사에서 퇴직금을 운용하는 책임과 위험을 모두 부담하는 퇴직연금으로 퇴직 시 받을 급여(퇴직금)가 확정되어 있습니다. ↩︎
퇴직연금 안전자산 ETF 추천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