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정 기간 내에 해지함으로써 발생하는 위약금은 통신사의 귀책사유가 있다면 이용자가 부담하지 않아도 됩니다. 따라서 해킹 사건으로 인해 SKT 통신 위약금이 발생하신 환급 대상자는 환급 신청을 통해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SKT 위약금 환급 조회 및 신청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SKT 위약금이란
SKT에서 발생한 4월 해킹 사고가 발생한 이후로 SKT 통신사 이동 통신 요금제를 해지함으로써 발생한 위약금을 돌려받을 수 있도록 SKT 위약금 환급 조회 및 신청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지난번 SKT 위약금 조회 방법에서도 설명해 드린 적이 있지만, 통신 위약금은 요금 할인을 받을 수 있는 공시지원금, 선택약정, 재약정 등이나 결합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약정 기간 동안 회선을 유지하기로 했지만, 중도에 해지, 번호이동, 약정 해지(기기변경 포함)를 했을 때, SK텔레콤에서 할인해 준 금액을 반환해야 하는 금액을 의미합니다.
SKT 위약금 환급 대상
이번 SKT 위약금 환급 대상은 휴대폰(5G, LTE, 3G), SKB 인터넷/TV 결합상품, T 지원금 약정(공시지원금약정, 선택약정, 재약정 등) 등 모든 의무 약정 상품을 2025년 4월 19일 00시부터 7월 14일 24시 기간 중 해지해서 위약금이 발생한 고객들은 위약금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2025년 4월 18일 금요일 24시 기준으로 SKT 고객이면서 약정을 가입한 상태인 분들만 SKT 위약금 환급 대상에 해당합니다.
- 가입 조건: 2025년 4월 18일(금) 24시 기준 SKT 고객 & 약정 가입 상태
- 해지 및 위약금 납부 조건: 2025년 4월 19일(토) 00시 ~ 7월 14일(월) 24시 사이 해지 & 위약금 납부
SKT 위약금 환급 대상의 경우에는 해지한 날짜나 위약금 내역을 별도로 조회해 볼 필요 없이 SKT 위약금 조회 서비스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SKT 위약금 조회 및 신청 방법
SKT 위약금 조회는 T월드 홈페이지나 앱에서 온라인(인터넷, 모바일) 조회 가능합니다. SKT 위약금 조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SKT 위약금 조회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화면 하단에 “위약금 조회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3. 이름과 생년월일 8자리 그리고 뒤 첫 번째 1자리를 입력합니다.
4. 본인 인증을 위해 통신사와 휴대전화 번호를 입력한 다음 “인증” 버튼을 누릅니다.
5. 인증번호 숫자 6자리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6. 환급 위약금 조회 결과에서 환급받을 수 있는 위약금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저는 SKT 예상 환급 위약금이 79,880원으로 나와있지만, 실제로 환급받을 수 있는 금액은 없습니다. 환급금이 표시되어 있더라도 예상 환급 위약금은 2025년 6월 30일에 해지했을 때 기준으로 표시한 금액이기 때문에 해지를 하지 않았다면 실제로 해지 위약금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또한, 7월 4일 이후에 해지하신 분들은 예상 환급 위약금보다 실제로 환급받는 위약금이 더 적을 수도 있습니다.
또 다른 번호로는 “환급 가능한 위약금이 없습니다.”라고 표시되어 있는데, 아이패드에 데이터 함께 쓰기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어서 별도로 환급받을 수 있는 위약금이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SKT 위약금 신청은 SKT 위약금 환급 조회 결과에서 화면을 아래로 내린 다음 ‘환급 신청 계좌 등록’에 환급 계좌를 등록해서 환급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SKT 위약금 환급 조회는 7월 5일부터 가능하지만, 위약금 환급 신청은 7월 15일부터 가능하기 때문에 7월 15일 이후에 환급금을 조회해 보고 환급 신청을 위해 환급 계좌를 등록하시기 바랍니다.
온라인 환급 조회 및 신청이 어려운 분들의 경우 온라인 조회 대신 T 월드 매장에 직접 방문하거나 SKT 고객센터(☎️1599-0011, ☎️114)로 전화를 걸어도 가능합니다. 다만, T월드 매장에 방문할 때는 신분증을 지참해서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SKT 위약금 환급 조회 및 신청 방법에 대해 모두 설명해 드렸습니다. 초기 SKT 해킹 사건으로 인해 심적으로 불안했던 적이 있습니다. 또한, 위약금이 발생하더라도 SKT에서 책임을 지지 않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한 적이 있었습니다.
늦었지만, 약 3개월 만에 4월 18일 가입 고객이 4월 19일 이후 해지 또는 번호 이동으로 납부한 위약금을 모두 환급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물론 해지를 하지 않은 고객에게는 1개월 통신료 50% 할인과 5월 동안 데이터 50GB 제공, T 멤버십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SKT 통신 위약금을 환급받을 수 있는 금액은 없습니다. 따라서 해지하지 않았을 때 받을 수 있는 SKT 고객 감사 패키지 혜택은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이전부터 가족 결합 할인을 받고 있었는데, KT나 LG 유플러스로 가족이 모두 이동했을 때 인터넷까지 함께 얼마나 할인을 받을 수 있을지 고민해 보고 옮기는 것을 추후 고민해 봐야겠습니다.
SKT 위약금 환급 FAQ
Q1. SKT 위약금 환급을 신청했는데, 환급금은 언제 받을 수 있나요?
A1. SKT 위약금 환급 신청일로부터 일주일(7일) 이내에 등록한 환급 계좌로 입금됩니다.
Q2. 회사에서 통신비의 일부를 대납해서 분리 납부했었는데, 환급금은 어떤 계좌로 받나요?
A2. SKT 위약금 환급 신청할 때 등록한 계좌번호로 환급금이 지급됩니다.
Q3. 약정만 해지하더라도 위약금 환급 가능한가요?
A3. 회선을 해지 않았다면, 위약금 환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Q4. 단말기 할부금도 환급금에 포함되나요?
A4. 아닙니다. 통신 약정 해지 위약금만 환급받을 수 있으며, 단말기 할부금은 별도로 청구됩니다.
Q5. 환급 신청을 꼭 해야만 받을 수 있나요?
A5. 네. 2025년 7월 15일부터 개별적으로 환급 신청을 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
인기 많은 최신 글
AesLocker 다운로드 및 사용법(암호화, 복호화)
KC인증 조회 방법(인증번호, 인증기관, 인증대상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