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월 10일부터 국민추천제를 통해 일반 국민들이 대통령이 임명하는 장·차관, 공공기관장 등을 직접 추천할 수 있는 진짜 일꾼 찾기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직접 공직자 후보를 추천해 본 경험을 바탕으로 국민추천제 공직자 후보 추천 방법을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추천제란
국민에게는 선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헌법이 보장하는 선거권과 선거에서 투표를 할 수 있는 투표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국민은 투표를 통해 선출직(선거직)을 내 손을 뽑을 수 있지만, 임명직의 경우에는 대통령을 비롯한 고위 공직자가 직접 임명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내가 원하는 공직 후보자를 추천할 수 있습니다. 추천할 수 있는 후보자는 장관과 차관 그리고 공공기관장 등 대통령 임명직 중에서도 주요 공직자에 적합한 인물을 국민들이 추천할 수 있습니다.
국민추천제는 국민주권정부의 국정철학을 뒷받침하기 위해 실시하는 인사 추천 제도입니다.
대통령 선거가 끝나면, 대통령 임명직의 경우 특정 정당이나 대통령과 과거에 알고 지내던 또는 인물들로 채워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국민추천제를 시행하면 가장 큰 장점은 여당과 야당을 나누는 정치적인 입장과 다르게 오로지 국민들이 직접 원하는 인물을 추천할 수 있다는 점에 있습니다.
대통령이나 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 선거를 하면서 인물보다는 정당에 중요도를 높여서 투표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게다가 선거에 출마하는 인물들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인물보다는 정당에 우선순위를 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국민추천제는 특정 인물을 추천하는 제도이기 때문에 국민들이 정당보다도 적합한 후보자를 추천할 수 있으며, 더 다양한 범위에서 공직자를 추천할 수 있다는 점도 큰 장점입니다.
인사청문회 등의 절차를 통해 고위공직자가 선출된 다음에도 각종 과거 문제나 현직에 있으면서 논란이 생길 때마다 아쉬움이 항상 있었습니다. 사실 이런 문제는 특정 후보자를 임명하는 것보다 후보자나 공직자를 교체하지 않거나 문제를 바로잡지 않는 것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국민추천제를 통해 공직자 후보자를 추천받고, 어떤 방식으로 대통령이 후보자를 선출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은 아직 알려진 것이 없지만, 대통령의 공직자 선출에 대한 권력을 일부 국민들에게 나누어줄 수 있는 발판이라는 생각에 이번 국민추천제 공직자 후보를 추천하게 되었습니다.
국민추천제 공직자 후보 추천 방법
국민추천제 공직자 후보 추천은 본인 또는 타인을 추천할 수 있으며, 후보자 추천 방법은 3가지가 있습니다. 3가지 방법을 차례대로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추천제 홈페이지 인터넷 추천 방법
인사혁신처 국민추천제 홈페이지에서는 인사혁신처의 국가인재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후보자를 추천할 수 있다고 하지만, 실제로 추천을 해보니 국가인재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지 않은 후보자도 추천할 수 있었습니다.
1. 인사혁신처 국민추천제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홈페이지 화면 우측 상단 줄 3개 아이콘(≡)을 누른 다음 “국민 추천 참여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3. 추천 형태에서 “본인” 또는 타인”을 선택합니다.
- 본인 추천: “나를 추천합니다.” 버튼 클릭
- 타인 추천: “다른 사람을 추천합니다.” 버튼 클릭
4. 직위를 추천할지 전문분야를 추천할지 선택합니다.
5. 필수 및 선택 개인정보 수집 이용 내역에 동의 여부를 선택하고, “동의 →” 버튼을 누릅니다.
6. 인증 단계에서 인증 수단(휴대폰, SNS 등)을 선택해서 본인 인증을 완료합니다.
7. 추천 분야를 선택합니다.
- 추천 구분: 정무직, 개방형 직위, 공공기관장, 기타 중 택 1
- 추천 직위: 추천 구분에 알맞은 추천 직위를 “검색”한 다음 입력 및 선택합니다.
- 정무직: 정부 24 정부조직도에서 추천 직위를 확인한 다음 선택합니다.
- 개방형 직위: 인사혁신처 나라장터 홈페이지 개방형 직위 게시판을 참고해서 추천 직위를 선택합니다.
- 공공기관장: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ALIO, 알리오) 홈페이지의 공공기관 정보를 참고해서 추천 직위를 선택합니다.
- 기타: 정무직, 개방형 직위, 공공기관장 이외에 추천하는 분야와 직위를 선택 입력합니다.
8. 추천하고 싶은 공직자 후보의 이름과 성별 등의 정보를 ‘추천받는 사람’에 입력합니다.
- 성명, 성별, 추천 사유 3가지 항목은 공직자 후보 추천 시 필수 입력 사항입니다. 따라서 생년월일, 전화번호, 직장명, 이메일 주소, 학력, 경력 그리고 첨부 파일은 비워 놓더라도 3가지 항목에는 꼭 답변하시기 바랍니다.
9. 추천하는 사람에 본인 성명과 휴대전화 번호가 제대로 입력되었는지 확인하고, 이메일 주소(전자우편)를 입력한 다음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인사혁신처 국민추천제 홈페이지 인터넷 추천을 완료한 다음 “나의 추천 현황” 페이지에 접속하면, 추천받는 사람의 직장명, 추천 기관명, 추천 직위명, 전문분야, 추천 일자 그리고 진행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민추천제 홈페이지에서 후보자를 추천하려면, 본인 인증 절차와 필수 입력 사항을 꼭 기재해야만 신청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게 신청할 수 있는 SNS 메시지 추천과 이메일 추천 방법을 이어서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SNS 계정 메시지 추천 방법
이재명 대통령의 공식 SNS 계정으로 메시지를 전송해서 공직 후보자를 추천할 수도 있습니다.
인스타그램 공식 SNS 계정에서 “메시지 보내기” 버튼을 누른 다음 공직자 후보를 추천할 수 있습니다.
트위터(X) 공식 계정에 접속한 다음 디엠(DM, 다이렉트 메시지)을 전송해서 공직자 후보를 추천할 수도 있습니다. 트위터 디엠 보내기 열기 삭제 방법을 참고하시면, 보다 쉽게 디엠을 전송할 수 있습니다.
페이스북의 공우에는 이재명 개인 계정이 있고, 대통령 공식 SNS 계정이 있습니다. 대통령 공식 페이스북 계정에 들어간 다음 메시지를 전송해서 후보자 추천 가능합니다.
SNS 계정으로 메시지를 전송해서 공직 후보자를 추천할 때는 아래 정보를 함께 입력해야 합니다.
- 추천 직위: 기관명, 직위
- 피추천인 정보(공직자 후보): 이름, 성별, 생년월일,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필요한 경우 추천 사유)
- 추천인 정보(본인):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1. 추천 직위
- 기관명: 국민권익위원회
- 직위: 위원장
2. 피추천인 정보(공직자 후보)
- 이름: 000
- 성별: 남/여
- 생년월일: YYYY년 MM월 DD일
- 전화번호: 010-1234-5678
- 이메일 주소: abc@example.com
- 추천 사유: 탁월한 리더십과 행정 추진력
3. 추천인 정보(본인)
- 이름: 000
- 전화번호: 010-8765-4321
- cba@example.com
이메일 공직자 후보 추천 방법
이메일 공직자 후보 추천 방법은 이메일 주소로 공직자 추천 내용을 기재해서 발송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공직자 추천 이메일 주소: openchoice@korea.kr
위 공직자 추천 이메일 주소로 추천 직위, 피추천인과 추천인 정보를 입력해서 보내면, 공직자를 추천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국민추천제 공직자 후보 추천 방법 3가지(국민추천제 홈페이지 인터넷 추천 방법, 이재명 대통령 SNS 계정 메시지 추천 방법, 이메일 공직자 후보 추천 방법)를 모두 설명해 드렸습니다.
어렸을 때부터 아무런 계기 없이 정치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어떤 계기가 시작이 되어서 정치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 것 같습니다.
정치 뉴스나 이슈를 찾아보고 나만의 생각과 판단을 하고 투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됩니다. 국민추천제를 통해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된 것 같아 기쁘기도 합니다. 이런 부분들을 고려해서 국민추천제에 한 번 참여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