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스토어를 운영하시는 분들이라면 내가 판매를 계획하고 있거나 판매하고 있는 상품에 대해 마진율 계산을 통해 자금 계획이나 원가 및 비용 절감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온라인 마진율 계산기를 제공하고, 마진율 정의와 계산법에 대해 안내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마진율 계산기
매출
매입
수수료
부가세
마진율 계산 결과
마진율이란
마진율은 판매 활동에서 발생한 순수익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한 후 발생한 수익에서 매입 비용과 각종 수수료, 부가가치세 등의 모든 비용을 빼고 남은 이익이 매출액 대비 얼마나 되는지를 백분율로 계산한 결과 값입니다.
마진율은 비즈니스의 수익성을 평가하고, 판매 가격을 결정하거나 각종 비용을 어떻게 절감하는 등의 전략 수립에 매우 중요합니다.
마진율 계산법
마진율을 계산하는 방법은 여러 단계의 비용과 수익 항목들을 고려해서 진행해야 합니다. 단계별로 마진율 계산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단계, 매출합계 산출: 상품 판매액과 배송비를 합산해서 전체 매출액을 산출합니다.
- 매출 합계 = 상품 판매액 + 배송비
2단계, 매입합계 산출: 구매원가, 운송 및 물류비, 기타 비용(포장비 등), 운임비, 광고/마케팅비를 모두 합산합니다.
- 매입 합계 = 구매원가 + 운송 및 물류비 + 기타 비용 + 운임비 + 광고/마케팅비
3단계, 수수료 합계 산출: 판매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수수료를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상품 판매액에 마켓의 카테고리 수수료, 연동 수수료, 배송비 수수료, 카드 결제 수수료를 적용합니다.
- 수수료 합계 = 상품 판매액 × (카테고리 수수료 + 연동 수수료 + 배송비 수수료 + 카드 수수료) ÷ 100
4단계, 부가세 산출: 매출 합계에 부가가치세율을 적용해서 부가세를 산정합니다.
- 부가세 = 매출 합계 × 부가세율(1.5~10%) ÷ 100
5단계, 순이익 계산: 순이익은 매출 합계에서 매입 합계, 수수료 합계, 부가세를 차감한 값입니다.
- 순이익 = 매출 합계 – 매입 합계 – 수수료 합계 – 부가세
6단계, 마진율 계산: 최종적으로 마진율은 순이익을 매출 합계로 나눈 다음 100을 곱해서 백분율로 산정합니다.
- 마진율 = 순이익 ÷ 매출 합계 × 100
마진율 FAQ
Q1. 마진율 계산에 여러 비용 항목을 포함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1. 마진율은 단순하게 매출과 원가만을 비교해서 계산하는 것이 아닌 판매 과정에서 실제로 발생하는 모든 부대 비용(운송비, 마케팅비, 수수료, 부가세 등)을 고려해서 실제 수익을 파악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Q2. 마진율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하나요?
A2. 원가 절감, 배송비 및 기타 운영비용 관리, 상품 판매가격 조절 등을 통해 마진율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또한, 판매 채널별 수수료 구조를 분석해서 불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금융 카테고리 추천 글
3. 육아휴직급여 계산기(일반육아휴직급여, 6+6 육아휴직)
4. 금 투자 8가지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