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적으로 지급받는 상여금은 통상임금으로 포함되어 각종 수당과 퇴직금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또한, 상여금은 근로소득에 해당하기 때문에 세금과 4대 보험료를 내야 합니다. 상여금 계산기를 통해 상여금 세금 계산과 상여금 실수령액을 쉽게 계산할 수 있도록 도움드리겠습니다.
상여금 계산기
상여금 계산 정보 입력
상여금 계산 결과
총 상여금
0 원
상여금 세금
0 원
상여금 실수령액
0 원
상여금이란
상여금은 회사에서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기본 급여(월급, 주급 등)와 달리 별도로 추가 지급하는 금전적인 보상 임금을 의미합니다. 상여금은 최저임금과 달리 사업자가 근로자에게 지급해야 할 의무는 법적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회사의 내부 규정이나 근로 계약에 따라 지급 여부와 상여율 등을 결정합니다.
정기적, 일률적으로 지급되는 임금은 통상임금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통상임금 관련 2024년 12월 19일 대법원 판례가 있었으며, 2025년 2월 6일에는 고용노동부에서 통상임금 지침을 변경하였습니다.
상여금의 경우에는 통상임금에 포함 여부를 정기적인 지급이 확정되어 있는 상여금(정기상여금)은 이미 통상임금에 합산하였고, 이번 판례와 지침 이전과 이후 모두 기업의 실적에 따라 일시적, 부정기적, 사용자 재량에 따른 상여금(경영 성과 분배금, 격려금, 인센티브)의 경우에는 통상임금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상여금은 성과급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상여금에는 어떤 세금을 내야 하는지 그리고 상여금은 어떻게 계산하는지 자세하게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상여금과 성과급
상여금은 성과급과 유사하게 생각할 수 있지만, 지급 기준과 목적에 차이점이 있습니다.
성과급은 개인이나 팀이 목표한 달성률, 매출 증대 등의 성과를 이루었을 때 기반으로 차등 지급하거나 지급 시기나 금액을 사전에 고정하지 않았으며, 연봉에 포함하지 않습니다.
상여금의 경우 일률적으로 모든 근로자에게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여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예를 들어 명절 상여금 등을 말합니다. 또한, 근로계약서나 취업규칙에 명시되어 있는 확정적인 대가여야 하며, 연봉에 포함해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상여금과 성과급은 지급 기준과 목적에 차이가 있지만, 공통점도 있습니다. 상여금과 성과급의 공통점은 근로소득으로 분류하기 때문에 4대 보험료와 세금을 내야 한다는 점입니다.
또한, 통상임금에 포함되는 성과급과 상여금의 경우에는 퇴직금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상여금과 성과급의 공통점이라 볼 수 있습니다.
상여금 세금
상여금은 근로소득에 포함되기 때문에 4대 보험료와 근로소득세, 지방소득세를 원천징수하고 남은 금액을 근로자가 지급받게 됩니다.
- 근로소득세: 기본 급여와 합산하여 누진세율 적용
- 지방소득세: 근로소득세의 10% 부과
- 사회 보험: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에 대해 근로자 부담
따라서 특정 상여금이나 상여율을 결정하였더라도 근로자가 실제로 받게 되는 상여금 실수령액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상여금 계산 방법
상여금을 계산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기본급 또는 연봉의 일정 비율을 적용해서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기본급이 200만 원인 경우에 상여금 200%라면, 200만 원에 2를 곱해서 400만 원의 상여금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만약 연봉의 경우에는 연봉을 월급으로 환산한 다음 계산해야 하고, 상여금이 포함되어 있는 연봉의 경우에는 상여금을 제외하거나 별도의 계산식을 적용해야 합니다.
상여금 FAQ
Q1. 상여금을 지급할 때, 세금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A1. 상여금은 근로소득세, 지방소득세, 4대 보험료 대상입니다. 세금과 사회보험료는 원천징수 방식으로 미리 차감한 다음 근로자에게 상여금을 지급합니다.
Q2. 상품권으로 상여금을 지급할 때, 세금이 부과되나요?
A1. 정기적, 일률적 상여금을 상품권으로 지급하더라도 현금과 동일하게 과세 대상입니다.
금융 카테고리 추천 글
3. 육아휴직급여 계산기(일반육아휴직급여, 6+6 육아휴직)
4. 금 투자 8가지 방법
5. 해외선물 거래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