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인상률 계산기

연봉 인상률은 기존 연봉 대비 증가한 금액의 비율을 말하며, 연봉 인상률 계산기는 연봉 인상률에 따라 증가한 금액과 인상 비율 대비 증가한 금액을 계산해 볼 수 있는 온라인 도구입니다. 연봉 인상률 계산기는 연봉 협상이나 원하는 연봉을 제시하기 위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연봉 인상률 계산기

연봉 인상률 계산
연봉 인상액 계산
%

연봉 인상률 계산기는 기존 연봉에서 인상률에 따라 연봉이 얼마나 올랐는지 계산하거나 인상 금액 대비 얼마나 연봉이 인상되었는지 증가한 비율을 백분율(%)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봉 3,000만 원에서 3,300만 원으로 인상되었다면, 연봉 인상률은 10%입니다. 반대로 연봉 3,000만 원에서 10% 연봉이 인상되었다면, 300만 원 올라서 연봉은 3,300만 원입니다.

연봉 인상률 계산기에서는 아래와 같은 2가지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1. 현재 연봉과 인상 후 연봉을 입력해서 “연봉 인상률”을 계산
  2. 현재 연봉과 인상률을 입력해서 “인상 후 연봉”을 계산

매년 연봉은 4~5% 정도 평균적으로 연봉이 인상되고 있다는 통계를 많이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나의 연봉은 지난 연봉 협상 대비 얼마나 올랐는지 파악하고 연봉 협상을 준비하거나 개인 재정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연봉 인상률 계산 공식

특정 비율(A%)이 연봉이 인상되었을 때, 인상 후 연봉을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인상 후 연봉 = 현재 연봉 × [1 + (A% ÷ 100)]
  • 연봉 3,000만 원에서 4% 연봉 인상(계산 예시): 3,000만 원 × (1+ 0.04) = 3,120만 원 → 인상 후 연봉은 3,120만 원

일정 금액(A원)의 연봉이 인상되었을 때, 연봉 인상률을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봉 인상률 = 인상된 금액(A원) ÷ 현재 연봉 × 100
  • 연봉 3,000만 원에서 300만 원 연봉 인상(계산 예시): 300만 원 ÷ 3,000만 원) × 100 = 10% → 연봉 인상률은 10%

또는 기존 연봉과 인상된 연봉을 활용해서 연봉 인상률을 계산할 수도 있습니다.

연봉 인상률 FAQ

Q1. 연봉 인상률 계산기는 언제 활용할 수 있나요?

A1. 연봉 인상률은 보통 연봉 재협상을 하기 전에 활용하거나 인상된 연봉과 전체 연봉 인상률(또는 업종별 연봉 인상률) 평균과 비교할 때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Q2. 연봉 인상률과 기본급 외에 다른 수당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A2. 연봉 인상률 계산은 보통 기본급을 기준으로 하지만, 회사에 따라 성과급 보너스, 복리후생 등의 다른 수당들을 포함해서 계산할 수도 있습니다.

금융 카테고리 추천 글

1. 청년도약계좌 계산기

2. 미국 CPI 발표 일정 및 시간 보는 방법

3. 연봉 계산기

4. 실수령액 계산기(세전 월급·연봉 계산)

5. 상여금 계산기(상여금 세금 계산기)

연봉 인상률 계산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