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 및 가입 방법

청년도약계좌는 은행 이자, 정부 기여금, 이자 수익 비과세 혜택으로 청년들이 목돈을 마련하기 위해 유용한 적금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계좌 개설 일정에 가입할 수 있기 때문에 이번 글에서는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 및 가입 방법을 자세하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 및 가입 방법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목돈을 마련하기 위해 5년 동안 적금해서 최대 5,0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서민금융진흥원의 자산 형성 지원 사업입니다.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내용은 지난 글에서 자세하게 설명해 드렸지만, 간단하게 청년도약계좌의 장점은 ① 은행 이자, ② 이자 수익 비과세, ③ 정부 기여금 지급 3가지가 있습니다. 3가지 혜택을 모두 받는다는 가정 하에 연 9.54%의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청년도약계좌는 5년 동안 저축을 해야 하기 때문에 만기까지 기간이 길고, 매월 원하는 날짜에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할 수 없다는 점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하기 위해서는 가입 신청 기간을 확인해서 기간 내에 신청을 해야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을 확인하고, 청년도약계좌 가입하는 방법까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 확인

청년도약계좌는 매일 가입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서민금융진흥원에서 매월 정한 일정 기간 동안에만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2025년 4월 기준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은 4월 1일부터 4월 11일까지로 마감되었습니다. 따라서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희망하시는 분들은 5월 일정을 기다려야 합니다.

따라서 매월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은 별도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아래 “바로가기” 링크로 이동합니다.

서민금융진흥원 공지사항 페이지에서 검색 창에 “청년도약계좌”를 입력합니다.

검색 결과에서 가장 최근 올라온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 및 계좌개설 일정 안내” 공지를 누릅니다.

첨부 파일에 있는 hwp 또는 pdf 파일을 다운로드해서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 및 계좌개설 일정 파일에서는 신청 기간뿐만 아니라 가입 요건 확인 기간과 계좌 개설 기간까지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2025년 5월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과 이후 일정까지 안내해 드린 방법으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에 어떤 방식으로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하는지 가입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비대면 가입 신청을 원칙으로 합니다. 주말에는 가입이 불가능하고, 영업일 기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 30분까지 청년도약계좌 개설 은행의 앱에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를 개설할 수 있는 은행은 KB국민, 신한, 우리, 하나, IBK기업, NH농협, 부산, 광주, 전북, 경남, iM뱅크(구 대구은행)가 있습니다.

저는 우리은행을 주거래로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WON뱅킹 앱에서 청년도약계좌 가입하는 방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스마트폰에서 우리WON뱅킹 앱을 실행한 다음 로그인합니다.

2. 앱 화면 좌측 하단에 “상품” 메뉴를 누른 다음 상품몰에서 “입출금/예금/적금” 메뉴를 누릅니다.

3. 적금 탭에서 “우리 청년도약계좌” 메뉴를 누릅니다.

4. 우리 청년도약계좌 안내 페이지 하단에 “상품 가입” 버튼을 누릅니다.

5. 필수 동의 사항을 눌러서 체크 표시(☑️)하고, “가입 자격 확인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가입 자격 확인 신청을 완료하면, 약 3~4주 후 자격 심사 결과를 문자로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자격 심사 결과 문자에는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가입 가능일)과 함께 가입 링크가 있습니다. 해당 링크를 눌러서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 및 가입 방법을 설명해 드렸습니다. 일반적인 적금보다 더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과 꾸준하게 돈을 모아서 5,000만 원이라는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장점은 금전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저축하는 습관과 목돈을 모으기 위한 노력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매월 70만 원 이내를 저축하는 것을 목표로 꾸준하게 저축해서 5년 만기까지 유지해 보시기 바랍니다.

복지 카테고리 추천 글

1. 실업급여 계산기

2. 육아휴직급여 계산기(일반육아휴직급여, 6+6 육아휴직)

3. 휴일근로수당 지급 기준 및 대상자(계산 방법)

4. 근로수당 계산기(연장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

5. 국가장학금 구간 학자금 계산기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 및 가입 방법

Leave a Comment